용인신문 | 용인시가 올해 아파트 하자 방지와 학교 주변 안전한 통학환경 조성 등 121건의 생활밀착형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지난 17일 ‘시민체감 생활 밀착형 사업 보고회’를 열고 민선 8기 3년 차인 올해 11개 분야에 121개 생활밀착형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올해 추진되는 사업들은 △시민편의(14건) △교육·문화·체육(13건) △제도개선(8건) △복지(11건) △보건(7건) △기업·경제(12건) △환경(9건) △안전(9건) △도시·여가(12건) △반도체(9건) △교통(17건) 등 총 11개 분야 121건이다.
이날 보고회를 통해 확정된 사업들 중 △도시개발사업 기반시설 관리체계 개선 △건축 인허가 처리 표준안 수립 △공동주택의 부실시공을 차단하는 관리방안 수립 △먹는물 수질검사 분석 온라인 서비스 △신속한 재개발·재건축사업 추진을 위한 통합심의 등 제도개선 방안은 시가 올해 처음 시행하는 생활밀착형 사업이다.
무엇보다 공동주택의 부실시공에 대한 관리방안은 최근 처인구 양지면의 ‘용인 경남아너스빌 디센트’에서 불거진 공동주택의 하자 문제를 방지하고, 입주 전 시행 중인 사전점검 제도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분야별 사업을 살펴보면 교통분야는 학교 주변의 안전한 통학환경 조성, 교통체계 개선, 상습 정체구간의 교통체증 해소를 위한 사업이 포함됐다.
시는 오는 12월까지 인도가 설치되지 않았던 ‘용인 다움학교’ 통학로 일부 구간에 보도를 설치하고, 모현초등학교 후문 앞 교량을 확장한다.
영문중학교의 경우 통학로 도로 확장과 함께 승하차베이 설치가 오는 6월까지 이뤄지며. 기흥초등학교에는 양방향 통행이 가능한 인도교를 설치한다.
환경 분야의 경우 음식물류 수거 체계를 전환하기 위해 자동집하시설을 사용하던 수지·흥덕지구와 다가구, 다세대 주택 약11만 세대를 대상으로 ‘음식물류 폐기물 개별계량기기(RFID)를 설치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시민 편의 분야에서는 운수종사자 부족에 따른 버스 운행감축을 해소하기 위해 운수종사자 양성기관 지정과 양성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이와 함께 종사자에게는 처우개선비를 지급하고 감축 규모가 큰 노선은 순차적으로 증차한다.
또 명지교차로 등 3개소의 차로를 확대하고, 경희대 삼거리 등 4개소는 노면을 조정해 차로를 확보한다. 전대교차로 등 2개소에는 회전교차로를 설치하고, 사고가 잦았던 죽전 사거리에는 교통안전시설물을 설치한다.
문화공간과 환경 조성을 위한 사업도 이뤄진다. 시의 자연환경을 활용한 맨발길 조성은 올해도 사업이 이어진다. 시는 지난해까지 26개소, 13.4㎞에 이르는 맨발길 조성에 이어 올해 기흥저수지 산책로와 고기 근린공원 등 26개소에 맨발 길을 추가로 조성하기로 했다.
또 어르신을 위한 복지정책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용인실버케어 순이‘ 사업을 올해 사업 규모를 확대, 어르신 돌봄서비스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이상일 시장은 “올해에도 시민의 실생활에 보탬이 되고 불편을 해소해 드리는 사업들을 많이 발굴하자”며 “그동안 좋은 평가를 받았던 생활밀착형 사업들도 예산을 더 투입해서 차질없이 추진해달라”고 말했다.
용인시 생활밀착형 사업 중 하나인 장난감 무료 택배서비스를 이용한 가정의 모습.
생활밀착형 사업으로 용인세브란스병원 입구에 설치한 냉난방 시설을 갖춘 박스형태 버스승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