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기도 교육청은 그동안 논란이 돼왔던 용인외고의 자율형 사랍학교 전환신청을 받아들여 23일 승인 고시했다.
이에 따라 용인외고는 2011학년도 신입생 선발부터 모집 단위를 기존 경기도에서 전국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영어 내신뿐만 아니라 국어·사회·수학·과학 등 다양한 교과목의 성적을 입시에 반영할 수 있게 됐다.
용인외고는 자율고로 전환하더라도 교명은 ‘용인외국어고등학교’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5개 외국어과를 국제·인문사회·자연과학 3개 계열로 재편하되, 학년당 학급 수(10개)와 학급당 학생 수(35명)는 현행대로 유지한다. 신입생은 자기주도학습 전형으로 선발하고, 다음 달 중순까지 모집요강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용인외고는 자율고로 전환하기 위해 재단이 학교에 투자하는 법인전출금을 등록금의 20% 이상으로 확대키로 했다.
용인외고는 지난 2월 학생 납입금을 일반사립고의 300%(도교육청 기준 200% 이내)로 책정해 제출했으나 도교육청이 신청서를 반려하자 이번에는 학생납입금을 일반사립고의 200% 수준으로 낮춰 다시 신청했다. 이울러 연 200만원의 학교운영지원비 징수계획을 일반고 수준인 연 30만원으로 낮추기로 했다.
용인외고의 자율고 전환은 정부가 지난 5월 고시한 ‘고교 체제 개편안’에 따른 것이다. 이에따라 현 특목고 체제를 유지할 경우 학생정원수가 줄어 들기 때문.
하지만 지역사회의 반발도 이어지고 있다. 당초 자율고 전환이 보류 됐던 지난 2월에 이어 또다시 수백억원의 설립비를 부담한 용인시를 무시 한 채 단독적으로 이를 추진했다. 특히 학생 선발범위를 전국으로 늘리며 당초 용인시와 협약했던 30%의 지역학생 우선 선발이 일방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용인시 관계자는 “당초 경기도가 용인외고의 자율고 신청을 보류 할 때도 용인외고는 시와 어떠한 상의도 하지 않았다”며 “역시 이번 재승인 신청시에도 용인외고 측은 시와 상의 없이 단독으로 추진 했다”고 밝혔다.
한 학부모는 “지금도 학교측에 내는 돈이 기숙사비를 포함해 100만원이 넘는다”며 “사교육을 부축이는 귀족학교를 만들려는 시도로 시의 지역 인재 육성이라는 건립 취지를 무시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시민 A씨는 “용인시에서 수백억 원 부담한 용인외고 운영에 있어서 단 한번도 용인시와 이렇다할 상의 없이 추진 한 것은 당초 투자 목적에 어긋나는 것 아니냐”며 “현재 추진 중인 영어마을 또한 이러한 형태를 벗어나지 않을지 의심 된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