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 김종경 칼럼
모바일 경선의 폐해와 선거구 짜깁기

모바일 선거가 민주통합당의 악재로 떠올랐다. 광주지역 모바일 경선 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자살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민주통합당은 문제의 지역에 후보를 내지 않는 등 후폭풍 차단에 나섰지만,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등 여권 인사들의 총공세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민주통합당이 당 지도부 선출을 하면서 도입한 국민경선과 모바일 투표는 나름대로 흥행에 성공한 케이스다.

반면, 돈 봉투 사건으로 분위기가 위축됐던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호재가 아닐 수 없다. 오히려 반전의 찬스를 맞이한 셈이다.

그럼에도 국민경선과 모바일 투표는 그간 정치권의 관행이었던 금권, 관권, 동원선거를 한방에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선출방식임에 틀림없다.

사건이 발생해도 그 실효성이 유효한 이유다. 문제는 광역선거처럼 모집단위가 커질 경우엔 상관없지만, 지역별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엔 동원선거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용인지역 선거구 역시 일부 후보 진영이 선거인단 불법 동원 의혹을 사고 있다. 이로 인해 고소고발을 준비하는 후보들까지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도 경선 관련 여론조사 과정에서 20~30대에 대한 가중치 부여 때문에 논란을 겪는 것을 보면 여야 모두 경선 과정에서 혼탁한 양상을 쉽게 피해가기는 어려워 보인다.

결과적으로 모든 후보들은 자신을 지지하는 선거인 등록자를 만들기 위해 온갖 편법을 동원하기 마련이다. 이 과정에서 불· 탈법을 자행하거나 또 다른 유혹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모바일 경선의 허점인 것이다.

일부 후보 진영의 금·관권 선거의혹 제보가 잇따르고 있다. 만약 제보가 사실일 경우엔 당내 경선은 물론 선거 자체를 치루기도 어려울 게 뻔하다. 그렇다고 선거인단 모집이 끝난 상태에서 전면 재검토를 한다는 것 역시 쉽지 않다.

대안으로 모바일 투표 반영률을 당초 계획보다 축소하자는 방안까지 나왔지만, 그 파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우려했던 대로 용인시 선거구가 누더기가 됐다. 일단 지역별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인지 구별 선거구명을 용인 갑·을·병 선거구로 바꿨다.

그리고 선거구 획정은 헌법 불합치 판결을 피해가기 위해 기존 처인· 기흥· 수지 선거구를 지역민의 정서와 거리 등을 배제하고, 인구수만 고려해 짜깁기를 했다.

이와 관련 총선 예비후보자들의 반발은 말할 것도 없고, 유권자들의 선거참여 열기에 찬물을 끼얹은 꼴이 됐다.

예비후보자 중에서는 자신의 선거구에서 후보 자신의 투표권이 없어지는 사상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유권자들 역시 전혀 생소한 후보자들을 놓고 주권을 행사해야 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한 것.

우리나라 정치권이야말로 첫 번째 쇄신의 대상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됐다. 유권자들도 투표행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맞이했다.

만약 정치권이 제대로 각성하지 않는다면, 국회의원 선거 자체를 없애야 한다는 여론을 피해가기 어려워 보인다. 현재까지의 정황만 분석해 봐도 백번 이해가 가는 말이다.

여야 모두 4·11총선 공천 후유증이 저항으로 다가올 게 뻔하다. 순수한 표심을 짓 밟아온 깡패 정치권에 휘말려 마지막까지 농락당했다는 수치심.

이 같은 사실을 후보자와 유권자들이 깨닫는 순간, 정치권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