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모두 6·2지방선거 공천자를 확정 발표하면서 일부 지역 낙천 후보자들의 반발이 거세다. 일부 후보자들은 탈당을 선언했고, 이미 타당으로 옮길 준비를 하거나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는 등 후유증이 적지 않다.
특히 용인시 중에서도 일부 선거구의 경우 특정 후보가 당협위원장으로부터 일찌감치 내천을 받았다가 막판에 물을 먹었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기대만큼 실망감이 컸을 대부분의 낙천자들은 공천심의 결과를 납득할 수 없다며 공천 아닌 사천(私薦)이라고 반발한다. 언제 터질지 모를 뇌관을 보는 듯하다.
전국 대부분의 선거가 마찬가지다. 특히 현역 의원들이 대거 낙천된 선거구에서는 그 후유증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공천결과에 불복한 탈당과 이적, 또는 무소속 출마를 준비하는 극단적인 상황까지 속속 벌어지고 있다. 정당이 없는 일반 유권자들 입장에서 보면 공천결과에 승복하지 못하는 정치인들을 이해할 수 없다.
하지만 그들도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일부 후보자들의 경우 공천권자와의 개인적인 이해관계에 얽혀 자격미달임에도 공천을 받았다는 의혹 때문이다. 심지어는 이 과정에서 금품 등의 거래를 통한 부정한 의혹이 제기되기도 한다.실제 전국적으로 보면 공천을 앞두고 부정선거를 하다가 적발되어 처벌받은 사례가 적지 않았다.
여야를 막론하고 공천후유증이 없는 곳은 드물 것이다. 얼마 전 국회에 갔을 때도 공천결과에 분노한 모 정당 당원들이 대거 국회에 몰려와 농성과 항의를 하는 것을 보았다. 용인지역 일부 선거구도 마찬가지다. 아직까지는 거친 시위만 없었을 뿐 광역·기초의원 공천 잡음은 그 어느 때보다도 억측에 가까운 소문을 만들어냈다. 또 언제 집단 탈당 등의 반발이 현실화 될지도 미지수라 할 만큼 유동성이 크다. 당협위원장으로부터 사전에 공천을 내정 받았다가 낙마한 후보들도 적지 않아 보인다. 당연히 오해를 불러올 수밖에 없다. 첫 단추를 잘못 끼운 탓이다.
용인시는 특히 여야 모두 용인시장 후보 공천이 문제다. 한나라당은 3명의 당협위원장들이 사전 조율을 못해 혼란만 가중시켰다. 또 민주당은 한나라당 시장후보가 누가될 것인가에만 눈치보기식으로 일관했다. 이들 모두 유권자에 대한 약속, 즉 공천원칙을 깨뜨렸다. 그러다보니 정당관계자들은 물론 후보자들까지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정보의 진위를 가리기 위해 동분서주해야만 했다. 정치인들이 이해관계를 따져 자기사람 심기만을 고집한 탓이 분명하다. 그 결과 지역정서와 유권자들만 무시당한 꼴이다.
물론 정말 훌륭한 후보를 뽑기 위해 고민하는 것이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것도 원칙이 살아있을 때 가능한 일이다. 이번 공천과정을 보면서 유권자들의 실망감은 이번 저만 큰 게 아니다. 또 다시 이구동성 나오는 이야기는 공천제 폐지다. 공천 때문에 후보자들에 대한 변별력이나 차별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인물보다는 정당 선호도에 따른 투표가 더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라도 정치권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욕심을 버리고, 유권자를 두려워할 줄 알아야 한다. 무엇보다 사천 논란의 특효 처방은 기존의 정당공천제를 폐지하는 길 뿐이다. 만약 정당제 때문에 어렵다면 철저하게 공심위를 운영해서 공정한 심사를 하는 길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