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 김종경 칼럼
‘정당’ 보다는 ‘인물’론이다

18대 총선 공식 선거전이 시작됐다. 여야 17개 정당과 무소속 후보 1119명이 지역구 245석과 비례대표 54석 등 총 299개 의석을 놓고 득표 경쟁이 한창이다.

그런데 선거일이 얼마 남지 않았음에도 유권자들은 헷갈린다. 후보자들은 물론 정당 색깔 구분조차 어렵다. 대선전부터 총선 준비를 해왔던 정당 공천 낙선자들이 대거 친박 연대와 무소속 출마를 강행했기 때문이다. 결국 한나라당은 4당 4색을 연출하며, 유권자들을 혼란속으로 빠뜨렸다.

그로인해 이번 선거의 관전 포인트가 바뀌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대결 구도에서 친박 연대와 무소속 출마자들의 흥행 여부 쪽으로 관심이 쏠리기 시작한 것이다. 이들의 득표력은 당락을 떠나 선거구도 전체를 뒤 흔들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여야는 집권 초기를 의식해 안정론과 견제론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정당은 모두 권력 투쟁과 공천 후유증으로 유권자들의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게다가 이젠 정책 부재 정당으로 낙인까지 찍힐 판이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정당 무용론이 인물론을 불러온 것이리라.

유권자들 역시 예년과는 달리 정당보다 후보 개개인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거물급 인사들이 출마하는 서울 지역의 경우 정당 지지도가 20~30% 이상 차이가 나지만 후보 지지도는 접전 양상을 벌이는 곳이 많다. 역대 총선에서는 유권자 70% 이상이 후보의 소속 정당을 중요하게 여겼던 것과 상반된 흐름이다. 특정 정당에 대한 쏠림현상은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각 정당의 지지층 결속력도 예년과는 다르다. 한나라당의 경우 지난 대선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선택했던 사람들이 대거 몸을 뺐다. 그리고 ‘노무현 심판’ 요소가 사라지면서 결집력은 더더욱 약해졌다. 민주당도 노무현 정부에 대한 실망감 회복이 안 되어 정당 지지 층 결속이 어렵다. 이는 정당 대결구도로 몰아가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초 여야는 튀는 공천개혁으로 정치혁명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공식 선거전 분위기를 보면 더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 유권자들은 정당에 대한 실망감 때문에 점점 인물론에 귀착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는 어떤 후보인가.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소속 정당보다는 인지도가 높고 조직기반이 탄탄한 후보들이다. 문제는 유권자들이 후보자들을 제대로 알 시간이 없다는 것. 그러니 후보자들의 정책 마인드 검증이 쉽겠는가. 후보자들은 유권자들에게 신성한 정책과 공약을 제시할 의무가 있다.

하지만 그럴듯한 정책과 공약을 내세우는 후보는 보이지 않고, 파벌싸움 양상만 계속되고 있으니 한심할 따름이다.

한나라당 내부만 보아도 친 이명박계와 친 박근혜계 간 공천갈등, 친 이명박계 내부의 이상득·이재오·강재섭 계, 그리고 무소속의 복당 문제로 인한 신주류와 구주류의 충돌 등으로 시끄럽다.

결국 이번 총선은 여야 모두 권력투쟁의 장으로 변질됐다. 이런 몹쓸 권력투쟁은 또 다시 지역 정치판까지 계보 정치로 물들이는 악순환을 되풀이 할 것이다. 정말 몹쓸 정치판이다.

이제야 말로 깡패 조직 같은 정치판을 제대로 심판하기 위해서는 정당보다 국가의 일꾼을 뽑는 인물론을 중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