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잠실 종합운동장에서 성남시 서판교와 용인시 수지구, 수원시 광교지구를 거쳐 화성시까지 연결되는 ‘경기남부철도 개설’ 사업을 두고 용인시와 경기도가 정면충돌하는 모양새다.
경기도를 비롯해 용인과 수원‧성남‧화성시 등이 공동용역을 통해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사업 우선 반영을 요구했지만, 도가 이를 거부하면서다.
도가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검토 순위에 경기남부광역철도사업을 2순위로 올린 반면, 김동연 도지사 공약사업인 GTX-플러스 등은 모두 우선순위로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며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특히 이상일 용인시장은 도내 31개 시‧군 단체장이 모인 간담회에서 김 지사에게 직접 “우선순위 사업의 용역 결과를 공개하라”며 압박 수위를 높이는 모습이다.
이 시장은 지난 11일 도청에서 열린 ‘2024 경기도-시·군 정책간담회’에서 김 지사에게 경기도가 국토교통부에 우선순위로 제출한 것으로 알려진 GTX-플러스안의 용역 결과를 정확히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용인을 비롯한 수원·성남·화성시가 함께 추진하는 경기남부 광역철도 사업과 도가 국토부에 우선순위 사업으로 제출한 철도사업 계획들을 공개적으로 비교하자는 취지다.
이 시장은 이날 “김 지사 공약으로 알려진 GTX-플러스안은 GTX G노선을 신설하고 C노선을 오이도까지 연장하는데 것으로 12조 5000억 원 정도가 투입된다”며 “도는 GTW-플러스 사업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GTX 사업의 수혜자에 추가로 49만 명이 더 혜택을 받게 된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배포하기도 했다”고 운을뗐다.
이어 “반면 용인‧수원‧성남‧화성시가 공동용역을 진행한 경기남부 광역철도 사업은 비용 대비 편익(B/C)값이 1.2로 사업성이 매우 높게 나왔고, 수혜를 입는 시민은 용인시 수지구 38만 명, 성남시 25만 명, 수원시 33만 명, 화성시 42만 명 등 138만 명이나 된다”며 “12조 5000억 원을 투입해서 49만 명이 혜택을 받고 5조 2000억 원을 투자해서 138만 명이 수혜를 입는 사업 중 어떤 것이 더 경제성이 있느냐”며 포문을 열었다.
이 시장은 또 “4개 시가 염원하는 경기남부 광역철도를 김 지사 공약이 아니라며 뒤로 미뤄놓은 것은 4개 시 420만 시민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김 지사는 “시장·군수님들이 주신 질문에 (서면으로) 개별적인 답을 드리겠다.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이 잘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고, 이 시장이 재차 “4개 시 시장들과 만나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논의하겠다고 약속해 달라”고 하자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 경기도 우선순위가 사실상 그대로 반영
국토부와 철도관계자 등에 따르면 국가철도망 구축사업의 경우 사업계획 제출 권한을 갖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의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 결과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사업성이 높더라도 해당 광역지자체의 우선순위에서 밀릴 경우, 사업성이 낮은 다른 광역지자체의 우선순위 사업과 경쟁에서 뒤처질 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설명이다.
국가 철도망 구축을 인구 등 수요가 많다는 이유로 수도권 등 특정 지역에 집중해 계획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시장이 ‘경기도의 국가철도망 계획 우선순위’ 추천에 강력하게 반발하는 이유다.
시 관계자는 “국토부는 통상 전국 광역단체에서 각 3개씩 올린 우선순위 사업을 중심으로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의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을 위해 경기도의 우선순위에 이름을 올리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