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용인시민장학회로 출범한 용인시인재육성재단은 시 출연기관으로 운영 중이다. 사진은 이상일 용인시장이 용인지역 학생들에게 장학 증서를 수여한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이다. <용인시 제공> 용인시 “기부금심사위 거쳐야” 문턱 ↑ 지역인재 육성 선의에도 불가 판정 굴욕 청탁금지법 내세워 기부문화 확산 찬물 용인시장학재단 기본재산 ‘238억’ 불과 인구 적은 안양시 274억·과천시 224억 용인신문 | 평생교육 시대에는 사회복지 차원에서 청소년과 대학생, 일반인들에게까지 장학금 수혜의 폭을 늘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학제도와 기구도 많아져야 하고, 지자체 등이 출연하는 장학재단에도 기본 자산이 많아야 한다. 특히 지자체 출연금으로 운영 중인 전국 수 백여 개의 장학기구에는 민간 기탁자들의 참여를 유도해서 늘려야 함에도 청탁금지법을 빌미로 지자체가 기부문화를 퇴행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용인시장학재단의 사례와 현 기부금 법의 문제점과 개선책에 대해 알아봤다. <편집자 주> #용인지역 학생수 대비 장학금 수혜자 태부족 용인시장학재단의 전신은 2001년 12월에 교육문화발전 육성기금과 자활자립 기금을 통합해 설립한 ‘용인시민장학회’였다.
삼가2지구(뉴스테이)와 역삼조합이 책임 전가만 하던 중 용인시가 2023년 국가권익위원회 조정을 받아 시행사가 비용을 부담하는 대신 공원부지(임야)에 진입로를 개설 후 ‘원상복구’하는 조건으로 임시도로를 개설 중이다. <사진 임수재 객원사진기자> 용인 역삼구역 도시개발사업 국내 최대 ‘상업지구’ 청사진 경기침체·조합원 내분 답보 인프라 실종지대 ‘삼가2지구’ 진입로 없는‘유령아파트’ 전락 용인신문 | 용인시는 10년 뒤면 세계적인 반도체 도시 반열에 오른다. 1983년에 가동이 시작된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 단지 하나만으로도 글로벌 기업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2019년 처인구 원삼면에 SK반도체 클러스터(소부장 포함)조성 계획이 발표됐고, 2023년 이동‧남사읍 일원에 최첨단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계획이 발표됐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용인시 최대 이슈는 반도체 공장 건립건이다. 2045년까지 향후 20년간 반도체 이슈를 뒤엎을 만한 사건은 없을 것이다. 용인시가 다른 도시들에 비해 경제희망이 밝은 이유다. 하지만 빛과 어둠의 그림자는 공존한다. 20년 넘게 표류 중인 용인시청 앞 ‘역삼지구와 삼가2지구’, 그리고 ‘3항공대 이전’ 문제 등….
언론마다 ‘용인 반도체 메카’를 앞다퉈 보도하고 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와 경기도, 용인시가 풀어야 할 과제가 산 넘어 산이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경영성과도 사업 추진의 변수다. 사진은 원삼면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 공사현장. <드론사진: 김성덕 본지 객원 사진기자> 삼성전자·SK 하이닉스, 장밋빛 청사진… 개발예정지 주변 땅값 폭등 이동읍·남사면 일대 국가산단 300조 투자 용두사미 가능성 경계해야 미국 반도체법, 한국·대만 생산시설 블랙홀… 용인 사업에 악재 우려 용인시·정치권 역할 중요 시민감시기구 만들어 실제 투자 살펴봐야 [용인신문] 용인특례시가 ‘글로벌 반도체 허브’로 도약할 수 있을까? 예단할 수 없지만, 용인시와 지역 정치권 행동에 따라 성패가 결정될 것이다. 2018년 용인 플랫폼 도시, 2019년 SK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결정되면서 용인시는 난개발 오명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최근 언론마다 ‘용인 반도체 메카’를 앞다퉈 보도하고 있다. 하지만 실상은 녹록지 않다. 윤석열 정부와 경기도, 용인시가 풀어야 할 과제가 산 넘어 산이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경영성과도
처인 11개교 6학급 이하 작은 규모 학생수 한 두명 차이로 교사 수급 재정지원 등 문제 발생 ‘전전긍긍’ 원삼·백암 초교 입학 유치전 치열 [용인신문] 용인 처인구 농촌지역의 작은 초등학교들이 학구 내 학생수가 적어 분교 및 폐교위기 상황을 맞고 있다. 이에 교장 이하 교사, 지역사회가 똘똘 뭉쳐 학교를 지키기 위해 경기도 도시지역 등을 대상으로 학생 유치전에 나서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정부나 자치단체, 교육청 등도 방과 후 활동 전체를 무상교육으로 진행하는 등 이들 소규모 학교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현재 용인지역 초등학교는 처인구 32개교, 수지구 32개교, 기흥구 41개교 등 총 105개교다. 초등학교의 도·농간 격차가 커 수지·기흥구 등 도시 지역은 매머드급 학교가 다수인 반면, 처인구 소재 학교 가운데 34.3%에 이르는 총 11개 학교가 전체 학급수 6학급에 불과한 소규모 학교다. 수지구 수지초의 경우 전체 63학급에 전교생이 1820여명이며, 기흥구 서농초도 52학급에 1371명에 달한다. 처인구도 도시지역인 역북지구 내 함박초가 49학급 1343명에 이르며, 대규모 아파트단지인 남사읍 한숲시티 내 남곡초가 66학급 1816명에 이르고 있다.
[용인신문] 도농복합시인 용인특례시는 65세 이상 노인이 총인구의 14% 이상인 가운데 처인구를 중심으로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농촌 마을엔 어린이가 단 한 명도 없거나 늙고 병든 노인들끼리 서로 의지하면서 지내는 곳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무엇보다 도시지역과는 달리 문화복지 혜택에서도 소외되는 등 노인 사각지대로 변하고 있다. 한국 사회는 2007년 고령화 사회(65세 이상 노인이 총인구의 7% 이상)를 지나 2018년 고령사회(14% 이상)에 돌입했고, 초고령사회(20% 이상)를 2026년 이후로 예상했다. 하지만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과 원삼면의 경우 2023년 2월 말 현재, 이미 초고령사회에 돌입했다. 2023년 현재 용인시 전체 인구 107만 4133명 가운데 65세 이상이 15만 8744명으로 14.78%다. 용인시 전체적으로도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상황이다. 구별로 보면 처인구 전체 인구 25만 8666명 가운데 65세 이상이 4만 2256명으로 16%, 기흥구는 전체 인구 43만 7431명 가운데 65세 이상이 6만 3299명으로 14.4%, 수지구는 전체 37만 8036명 가운데 65세 이상이 5만 3219명으로 14%에 이르러
[용인신문] 용인지역 유일의 ‘사립공공도서관’인 느티나무 도서관 운영비 예산 삭감을 두고 용인시와 지역 정치권 간의 공방이 이어져 논란이다. 도서관 지원예산은 경기도의회에서 삭감됐음에도 애먼 용인시가 오해를 받게 됐고, 예산을 살리자는 서명운동이 이어지며 정치권 다툼으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느티나무 도서관 운영진 및 이용자들이 국민의힘 측에서 예산 삭감을 주도했다는 내용의 서명운동을 벌이자, 이상일 시장을 비롯한 국민의힘 측에서 반발하고 나선 것. 특히 서명운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용인시가 예산지원을 끊었다는 식의 오해가 발생하자 시 측이 보도자료를 통해 이를 반박했고, 다시 수지지역 민주당 시의원들이 보도자료에 대해 시 공직자들을 질타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사실상 공공시설 개방 조례 논란 등 민주당 정춘숙 국회의원과 용인시 간 다툼의 연장선이라는 분석이다. 시와 느티나무도서관 등에 따르면 경기도는 지난해 말 2023년 예산안에 느티나무 도서관 운영지원 예산 1500만 원을 편성했다. 도와 용인시는 지난 2016년 개정된 도서관법에 따라 ‘사립공공도서관’에 대한 운영비 지원이 가능해지면서 각각 3:7의 비율로 예산을 지원해 왔다. 지원금액은 2017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