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처인구 이동읍 서리 산23-11번지에 있는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는 국내에서 가장 중요한 가마 유적이다. 서리 고려백자 요지는 지난 1984년~88년까지 호암미술관이 3차례 발굴조사를 하여 1989년 국가지정문화유산(사적329호)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그 전까지 이 가마 유적은 천 년간 잊혀져 있었고 다른 지자체들이 도자 문화를 부흥시키는 동안 용인에서는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어 사람들의 머릿 속에 용인이 도자 생산의 근거지였다는 인식이 자리잡을 수 없는 여건이었다. 늦게나마 용인시가 사적 지정 27년 만인 지난 2015년~2016년에 1차 종합정비계획을 세워 토지매입과 발굴조사를 추진하면서 그 진면모가 속속 드러남에 따라 이곳에 대한 활용 필요성이 급격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재발굴조사 귀추 주목 오랜 시간, 철제 울타리로 둘러진 좁은 구역만 문화유산으로 보호되고 있던 상황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가마 주변의 공방 등 건물지를 포함한 구역까지 발굴 조사하기 위해 넓은 면적의 보호구역을 지정한 후 토지매입과 4차, 5차 발굴조사를 진행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현재 관람객 편의를 위해 주차장과 임시홍보관을 조성하여 가마의 유래와 발굴조사
용인신문 | 광교산 등산로에 용인시와 수원시가 경쟁하듯 똑같은 장소에 각각 이정표를 설치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둘레길을 알리는 표식까지 더해져 산을 오염시키는 모양새다. 이는 등산객이 많이 붐비는 시루봉에 이르는 양 자치단체 경계에 유독 많이 설치돼 있다. 뿐만아니라, 두 이정표는 똑같은 지역에 대한 거리정보를 달리 표기해 등산객들에게 혼란을 주면서 오정표로 불리고 있다. 원래 이정표는 삼거리나 사거리 등에 설치해 방향과 거리 등을 알려주지만, 두 자치단체는 이와 무관하게 같은 장소에 두 개씩 세우거나, 약 2미터 정도 거리를 두고 세우는 등 꼴불견을 연출하고 있다. 양 자치단체가 똑같은 지역에 대한 거리도 많게는 100~200m 차이가 나기도 한다. 수원은 위치명까지 틀리게 표기한 것도 눈에 띈다. 더욱 가관인 것은 각 자치단체가 설치한 이정표에는 자신의 관할구역만 안내하고 있다. 용인 이정표에는 용인 관할인 천년약수터만 안내하는 식이다. 이렇다 보니 광교산에는 산 전체를 안내하는 종합 등산로 안내판이 한 개도 없이 용인종합안내판과 수원종합안내판만이 따로 존재할 뿐이다. 광교산은 행정구역상 용인시와 수원시, 의왕시 등 3개 자치단체에 걸쳐 있으나,
사라진 양지현 관아 디지털 체험 일제 수탈 협궤열차 철로 산책길 친일파 송병준 별저터 산교육의 장 ‘은이성지’ 세계적 종교 관광지화 용인신문 | 최근 조선시대 양지현의 흔적이 남아있는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양지면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한 양지리는 과거 양지현의 중심지였지만, 현재는 옛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양지향교와 300년이 넘은 느티나무는 과거로 향하는 시간의 문을 열어준다. 1872년 제작된 양지현 지방지도를 통해 옛 관아, 사직단, 여제단, 객사 등의 위치를 가늠해 보며 100여 년 전 양지현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다. #잊혀진 역사, 희미해진 기억 일제강점기 이후 양지현 관아는 철거되고, 그 자리에는 새로운 건물들이 들어섰다. 옛 흔적은 사라지고 기억 속에서만 희미하게 남아있다. 최근 발굴된 여제단터마저도 보존 가치가 없다는 이유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양지면은 역사 유적의 보고이다. 일제가 곡물 수탈을 위해 양지를 가로질러 달리던 협궤열차 수여선 철로가 곧게 뻗은 송문리 신송로 도로 아래 잠들어 있다. 또 추계리에는 정미칠적 중 하나이며 일진회장이었던 친일매국노 송병준의 99칸 별저터 앞 연못
용인신문 |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일제강점기에 사라졌던 양지현 여제단이 117년 만에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서 발굴되어 역사·향토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사직단과 함께 발견된 것은 전국적으로 매우 드문 사례이며, 수도권에서는 최초의 발견이다. 이는 조선시대 제례 및 신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특히 여제단은 당시 사회의 질병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하지만, 발굴 이후 유적 훼손 우려의 목소리와 보존 방안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편집자 주> 용인신문이 지난 호에 단독 보도(1437호 6면)한 양지현 ‘사직단·여제단’ 발굴의 가장 큰 의미는 두 개의 터가 쌍으로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사직단(社稷壇)은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이고, 여제단(厲祭壇)은 억울하게 죽은 원혼이나 역병을 일으키는 귀신을 위로하기 위한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그런데 두 제단이 함께 발견된 사례는 전국적으로 매우 드물며, 특히 수도권에서는 처음이다. 특히 조선시대 각 고을에 설치되었던 중요한 제례 시설인 ‘여제단’은 역병 예방과 관련된 국가적인 제례가 행해졌던 곳으로, 당시 사람들의 세계관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
2001년 용인시민장학회로 출범한 용인시인재육성재단은 시 출연기관으로 운영 중이다. 사진은 이상일 용인시장이 용인지역 학생들에게 장학 증서를 수여한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이다. <용인시 제공> 용인시 “기부금심사위 거쳐야” 문턱 ↑ 지역인재 육성 선의에도 불가 판정 굴욕 청탁금지법 내세워 기부문화 확산 찬물 용인시장학재단 기본재산 ‘238억’ 불과 인구 적은 안양시 274억·과천시 224억 용인신문 | 평생교육 시대에는 사회복지 차원에서 청소년과 대학생, 일반인들에게까지 장학금 수혜의 폭을 늘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학제도와 기구도 많아져야 하고, 지자체 등이 출연하는 장학재단에도 기본 자산이 많아야 한다. 특히 지자체 출연금으로 운영 중인 전국 수 백여 개의 장학기구에는 민간 기탁자들의 참여를 유도해서 늘려야 함에도 청탁금지법을 빌미로 지자체가 기부문화를 퇴행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용인시장학재단의 사례와 현 기부금 법의 문제점과 개선책에 대해 알아봤다. <편집자 주> #용인지역 학생수 대비 장학금 수혜자 태부족 용인시장학재단의 전신은 2001년 12월에 교육문화발전 육성기금과 자활자립 기금을 통합해 설립한 ‘용인시민장학회’였다.
삼가2지구(뉴스테이)와 역삼조합이 책임 전가만 하던 중 용인시가 2023년 국가권익위원회 조정을 받아 시행사가 비용을 부담하는 대신 공원부지(임야)에 진입로를 개설 후 ‘원상복구’하는 조건으로 임시도로를 개설 중이다. <사진 임수재 객원사진기자> 용인 역삼구역 도시개발사업 국내 최대 ‘상업지구’ 청사진 경기침체·조합원 내분 답보 인프라 실종지대 ‘삼가2지구’ 진입로 없는‘유령아파트’ 전락 용인신문 | 용인시는 10년 뒤면 세계적인 반도체 도시 반열에 오른다. 1983년에 가동이 시작된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 단지 하나만으로도 글로벌 기업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2019년 처인구 원삼면에 SK반도체 클러스터(소부장 포함)조성 계획이 발표됐고, 2023년 이동‧남사읍 일원에 최첨단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계획이 발표됐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용인시 최대 이슈는 반도체 공장 건립건이다. 2045년까지 향후 20년간 반도체 이슈를 뒤엎을 만한 사건은 없을 것이다. 용인시가 다른 도시들에 비해 경제희망이 밝은 이유다. 하지만 빛과 어둠의 그림자는 공존한다. 20년 넘게 표류 중인 용인시청 앞 ‘역삼지구와 삼가2지구’, 그리고 ‘3항공대 이전’ 문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