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농림축산식품부는 (사)농식품신유통연구원을 통해 친환경농산물 전문판매점, 생활협동조합, 대형할인점, 백화점, 기업형슈퍼마켓(SSM) 등 36개 기업(단체)을 대상으로 시행한 친환경농식품 판매장 현황 조사(2016년말 기준)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항목은 매장수 및 매출액(부류별 유통경로 비중 포함), 매출액 상위품목, 친환경농식품 판매장 운영 애로사항(건의사항)등이다.
우선, 2016년도 친환경농식품 매장수와 매출액은 5,446개소와 1조 4,723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5%와 8.9% 증가하였다.
친환경농식품 매출액 증가율(8.9%)은 전체 음식료품 소매판매액 증가율 5.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장수와 매출액 증가는 전문점(초록마을, 올가홀푸드 등)과 기업형슈퍼마켓(이마트에브리데이 등), 생협(아이쿱 등)이 주도했으며 매장수는 전문점, 기업형슈퍼마켓(SSM), 일부 생협의 다점포화 전략(소비자 접점기회 확대)과 함께 정부의 직거래장터 개설 지원 등 농산물 유통정책의 영향을 받아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매출액 증가는 독립점포 형태의 생협, 전문점 등이 축산, 수산, 가공식품, 생활용품까지 종합적으로 취급함에 따라 소비자의 상품 선택의 폭이 넓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관계자들은 친환경농식품의 안정적 원물조달과 구색(품목 다양성) 확보가 곤란하고, 친환경농식품의 품질과 가격에 대해 생산자-소비자간 기대치에 차이가 있어 ‘판매 활성화가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며,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농식품에 대한 홍보를 정부차원에서 강화하도록 하고, 생산.판매지원을 통해 인증품의 생산 확대 및 규모화를 요구하였다.
농식품부 김인중 창조농식품정책관은 ‘그동안 친환경농업은 부실인증 사태 등을 겪으며 2012년 이후 인증면적과 농가수가 감소하여 좀처럼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했으나, 안전·안심 먹거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농가·기업의 자구 노력, 소비자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정부의 인증관리 강화 등의 노력으로 판매장 수와 매출액이 증가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