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의 이해
권지영
내가 창을 내다보는 줄 모르고
마당으로 내려앉는 새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햇빛 속에서
명랑하게 우는 작은 새
귓가로 떨어진 울음 조각
소매 끝에 묻히려 꽁무니를 쫓다가
내 속울음 한달음에
이끌고 가는
담장 너머
가느다란 울음
* 권지영 시인
2015 <리토피아> 등단. 『아름다워서 슬픈 말들』『사랑이 아니었다 해도』등
슬픔의 이해
권지영
내가 창을 내다보는 줄 모르고
마당으로 내려앉는 새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햇빛 속에서
명랑하게 우는 작은 새
귓가로 떨어진 울음 조각
소매 끝에 묻히려 꽁무니를 쫓다가
내 속울음 한달음에
이끌고 가는
담장 너머
가느다란 울음
* 권지영 시인
2015 <리토피아> 등단. 『아름다워서 슬픈 말들』『사랑이 아니었다 해도』등
흔들리는 실루엣 김삼주 건조한 거리를 걷는다 마른 땅은 짠맛을 삼키고 바람은 한낮의 열기를 지워낸다 늘어진 나뭇잎들 저녁 무렵, 숨을 고르며 촘촘한 방충망처럼 서로의 안부를 묻는다 무심한 가로등 하나 눈앞에 펼쳐진 풍경을 바라본다 나방 한 마리 겁 없이 달려든다 지렁이 무덤이 걸음을 멈추게 한다 보도블록 밑의 열기가 뜨거워 살려고 밖으로 나왔는데 뜨거워진 배를 뒤집다 온몸이 뒤틀렸다 개미의 마른 입술이 선혈의 맛을 핥는다 개미, 떼로 모여들고 잔치가 시작된다 흔들리는 내 그림자에 머뭇거린 해 질 녘 약력: 남원출생 2004년 문학21 등단 SDU문창과 졸업 용인문학회 회원 시집<마당에 풀어진 하늘>
이별하는 돌 손택수 돌을 쥔다 차가울 줄 알았는데 온기가 있다 나의 체온이 건너간 것이다 건너간 것이 체온만은 아니어서 떠나가는 거 서운치 않게, 지는 해를 따라가서 민박집에 주저앉았던 옛일도 떠오른다 입파도였나 국화도였나 찬찬히 낙조에 물든 밀물을 몰고 오는 시간 돌을 만지던 손을 코끝으로 당겨본다 희미한 물냄새가 있다 비가 지나간 걸 기억하고 있는가 가서는 되돌아오고 되돌아오길 왼종일 보리밭을 불어가는 바람처럼 떨어지질 않는 걸음으로 저만치 가고 있는 사람이 있다 모퉁이를 돌아갈 때까지 매어준 머플러 끝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돌을 쥔다 누구의 체온인지 영 구분할 수 없게 약력: 199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호랑이 발자국』 『목련 전차』 『나무의 수사학』 『떠도는 먼지들이 빛난다』 『붉은빛이 여전합니까』 『어떤 슬픔은 함께할 수 없다』 등이 있다.
생명 축전 홍일선 한때 목화 값이 좋아 귀한 대접을 받았던 밭 어느 해는 너른 토란잎이 참외꽃이 아름다웠던 공경의 밭 지금은 무엇을 심어야 할지 답답한데 작년에 들깨가 흉작이었으니 올해는 깻금이 좋을 거라고 해 참깨 반 되 들깨 한 되 심었는데 허리 아파 며칠 안 나갔더니 쇠비름 명아주 까마중이 여뀌 바랭이풀들 일일이 다 호명할 수 없는 함자들 생명 축전이 장관이었다 약력: 경기 화성 동탄면 출생. 1980년 《창작과비평》등단. 시집 『농토의 역사』 외. 현재 여주에서 〈바보숲 명상농원〉에서 닭을 방사해 키우고 텃밭을 일구며 살고 있다.
용인(龍仁) 지나는 길에 민영 저 산벚꽃 핀 등성이에 지친 몸을 쉴까 두고 온 고향 생각에 고개 젓는다. 도피안사(到彼岸寺)에 무리지던 연분홍빛 꽃너울. 먹어도 허기지던 삼춘(三春) 한나절. 밸에 역겨운 가구가락(可口可樂) 물 냄새. 구국구국 울어대는 멧비둘기 소리. 산벚꽃 진 등성이에 뼈를 묻을까. 소태같이 쓴 입술에 풀잎 씹힌다. (시집 용인 지나는 길에 , 1977) 약력: 1934~2025년 강원 철원 출생 1959년 《현대문학》 추천으로 등단, 1991년 제6회 만해문학상 수상 시집 《용인 지나는 길에》 외 다수 전 한국작가회의(고문), 전 민족문화작가회의(고문) ※ 지난달 17일 별세(향년 91세)한 시인은 ‘용인공원’에 영면했다.
슬픔의 이해 권지영 내가 창을 내다보는 줄 모르고 마당으로 내려앉는 새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햇빛 속에서 명랑하게 우는 작은 새 귓가로 떨어진 울음 조각 소매 끝에 묻히려 꽁무니를 쫓다가 내 속울음 한달음에 이끌고 가는 담장 너머 가느다란 울음 * 권지영 시인 2015 <리토피아> 등단. 『아름다워서 슬픈 말들』『사랑이 아니었다 해도』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