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농촌진흥청은 국내 애완곤충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14일 경기도농업기술원 지역곤충자원산업화지원센터 강당에서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애완·학습곤충산업 활성화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간담회에서는 현재 애완·학습곤충 생산농가 뿐만 아니라, 각 지자체 담당공무원 및 연구원 등 100여명이 참석해 국내 애완·학습곤충 활성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새로운 애완·학습곤충의 탐색과 발굴, 고부가 용도개발을 위한 향후 연구방향, 해외 애완·학습 곤충의 국내 이용 촉진방안 등 국민들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주제발표를 통해 애완·학습 곤충산업이 재도약하는 계기로 삼는 자리였다. 사례발표를 통해 현재 애완·학습곤충 생산농가의 현장애로 사항을 수렴해 지속적인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곤충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했다. 또한, 이날 현장간담회에서는 애완·학습곤충의 다양성 확보로 국내·외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면서 애완곤충의 문화와 놀이법 시연 등을 소개했다. 농촌진흥청 이희삼 곤충산업과장은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애완·학습곤충이 새로운 소득화 곤충산업분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라고 말했다.
(용인신문)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4일(수) 산림과학관 국제회의실에서 국내 목재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목재산업 연구포럼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목재산업 연구포럼은 목재의 이용 촉진을 통해 신기후체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연구주제 도출, 정책제안을 목적으로 올해 상반기부터 운영되고 있다. 세미나에서는 ▲‘국산재 이용의 활성화 방안’(산림조합중앙회 중부목재유통센터 김종태 센터장) ▲‘산림탄소경영과 목재산업의 기회’(강원대학교 김외정 연구교수)에 대한 주제발표와 논의가 이어졌다. 아울러, 목재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목재제품 생산공정의 자동화를 포함한 부재 통합 생산관리시스템의 도입이나 제재, 건조, 집성, 방부, 프리컷(precut) 가공의 수직계열화 클러스터 운영방안이 제안되었다. 한편, 국산재의 이용 확대를 위해 수입재보다 우수한 국산재의 장점 연구와 결과 보급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현재, 국산재의 자급률은 2016년까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펄프용과 보드용 등 저부가가치재의 이용이 많아 고부가가치 용도로 이용이 시급한 상황이다. 국산목재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의 국산재 우선 구매 제도의 확대 시행, 공공건축
(용인신문) 삼성전자가 세계 최고 성능과 높은 신뢰성을 구현한 ‘4세대(64단) 256기가비트(Gb)3bit V낸드플래시’를 본격 양산하며 서버, PC, 모바일용 등 낸드 제품 전체로 4세대 V낸드 라인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글로벌 B2B 고객들에게 공급을 시작한 4세대 256Gb V낸드 기반SSD에 이어 모바일용 eUFS, 소비자용 SSD, 메모리카드 등에 4세대 V낸드를 확대하고 올해안에 월간 생산 비중을 50% 이상으로 늘려 글로벌 고객의 수요 증가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4세대(64단) V낸드에는 ‘초고집적 셀 구조·공정’, ‘초고속 동작 회로 설계’와 ‘초고신뢰성 CTF 박막 형성’ 등 3가지 혁신 기술이 적용되어 3세대(48단) 제품 대비 속도와 생산성, 전력 효율 모두 30% 이상 향상됐다. V낸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셀을 만들 때 수십 개의 단을 쌓아 올려 위에서부터 하단까지 수십억 개의 미세한 홀(Hole, 구멍)을 균일하게 뚫어 수직으로 셀을 적층하는 ‘3차원(원통형) CTF 셀 구조’로 되어 있다. ※ 셀(Cell) : 반도체(집적회로)에서 0 또는 1로 표시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 그러나 단수가
(용인신문) 대한전선이 싱가포르에서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하며 싱가포르 내에서의 막강한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에 900억 원대의 수주에 성공한 후 또 한 번의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이다. 대한전선은 15일 싱가포르 전력회사인 SP그룹(SP Group)으로부터 230kV 초고압케이블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수주금액이 한화로 824억원(SGD 100,738,333.47)에 달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싱가포르 중부의 앙모키오(Ang Mo Kio)에서 창이 국제공항 인근의 템피니스(Tampines)까지 연결하는 지중(地中) 전력망을 구축하는 것으로, 대한전선은 230kV 초고압케이블 및 접속재 공급뿐 아니라 전력망 설계, 포설, 접속 및 시험까지 책임지는 풀턴키(Full Turn-key)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시공에 대한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산업 지역인 템피니스 인근에 지중 전력망과 구조물이 많이 매설되어 있어,시공의 난이도가 높기 때문이다. 대한전선은 지난 20여 년간 싱가포르에서 많은 턴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제품 뿐만 아니라 시공에 대해서도 높
(용인신문) 광주광역시는 교류(AC)전원을 직류(DC)로 전환해 각종 전기전자 제품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 개소식을 14일 북구 첨단소재 전자부품연구원 광주본부 주관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지역 전자·가전 기업인들과 센터 유치·개소를 지원한 지역 국회의원, 산학연협의회, 연구 및 유관기관, 기업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는 ‘차세대DC전기전자 산업육성을 위한 연구기반 구축사업’의 하나로 추진됐다. 지난 2014년 7월부터 국비 100억원·시비 18억원·민자 17억원 등 총사업비 135억원을 투입해 연면적 1530.84㎡, 지상 2층 규모로 건립됐다.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는 DC 전기전자 관련 실증과 제품화를 위해 호남권 최초로 전자기신뢰성시험 시험 장비 등을 구축해 기존 전자부품연구원 광주본부이 이미 갖추고 있는 연구개발 인프라와 연계, 지역 기업의 전자기기 시험·측정·분석을 원스톱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게 됐다. 전자부품연구원은 전자·가전·자동차 등 전자제어기를 필요로 하는 모든 기기의 회로설계와 최적화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기업을 통한 제품화와 상용
(용인신문) 한국전력공사는 6월 15일 오후 3시(현지시간)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치토세시(千歲市)에서 28MW급 태양광 발전소의 초기 가압 및 시운전에 착수하였다고 밝혔다. 본 사업은 한전이 최초로 해외에 건설한 ESS 융복합형 태양광 발전소로서, 28MW의 태양광 발전과 13.7MWh의 ESS 설비가 결합된 사업이다. 사업부지는 홋카이도 신치토세 국제공항 인근으로 약 33만평 부지에 123,480장의 태양광모듈 및 13.7MWh의 ESS 설비를 설치 완료하였으며, 2017년 6월 15일 일본 홋카이도 전력의 히노데변전소에 계통연계 후 발전소 초기가압 및 시운전에 착수, 20일간의 시험운전을 거쳐 2017년 7월 5일에 상업운전을 개시할 예정이다. 한전 조환익 사장은 6.14일 발전소를 방문하여 발전소 시운전을 위한 최종 준비상황을 현장 점검하였고 “치토세 사업은 한전 최초의 해외 태양광 발전사업으로 일본 등 선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인하는 시금석이 될 프로젝트다”며 “한전은 본 사업에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국내 기업들과 함께 해외 신에너지 시장 개척에 앞장서 나가는 등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용인신문) CJ제일제당이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CJ제일제당은 12일 국내외 식품·소재 등 주력사업 확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9,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국내에 세계 최고 수준의 최첨단 식품생산기지를 건설하고, 해외에는 글로벌 1위 식물성 고단백 소재업체 인수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급변하는 국내외 경영환경 속에서 핵심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사업 포트폴리오로의 진화를 실현하기 위한 결정이다. 이재현 회장 경영 복귀 이후 처음으로 나온 대규모 투자 계획이다. 이 회장은 5월 CJ블로썸파크 개관식에서 “그룹의 시급한 과제인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미완의 사업들을 본궤도에 올려놓겠다”며 2020년까지 36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기술 선진화와 글로벌 M&A를 통해 미래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을 육성해 국가경제에 이바지하겠다는 이재현 회장의 뜻이 담겨 있다. CJ제일제당은 2020년까지 충북 진천에 5,400억원을 투자,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세계 최고 수준의 식품 통합생산기지를 구축한다. 완공 후에는 연간 생산액이 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8월
(용인신문) LG전자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인공지능 관련 연구개발 역량을 대폭 강화하기로 하고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6월 1일자로 CTO(Chief Technology Officer)부문에 ‘인공지능연구소’와 ‘로봇 선행연구소’를 신설했다. 그 동안 음성인식, 영상인식, 센서인식 등을 연구해 온 ‘인텔리전스연구소’를 각각 ‘인공지능’을 전담하는 ‘인공지능연구소’와 ‘로봇’을 전담하는 ‘로봇 선행연구소’로 분리해 확대 개편한 것이다. ‘인공지능연구소’는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는 정보, 날씨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음성·영상·센서로 인식/추론/학습하는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구축해 스마트가전, 모바일, TV, 자동차부품, 로봇 등 회사 전 사업에 적용할 계획이다. ‘컨버전스센터’에 있던 ‘인공지능연구소’는 웹OS 등 전사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센터’ 산하로 이동해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사업 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에 집중한다. ‘로봇 선행연구소’는 ‘컨버전스센터’ 내에서 지능형 로봇의 선행 기술을 개발한다. 두 연구소는 또 CEO 직속의 ‘클라우드센터’와 H&A
(용인신문) 기아자동차가 9일(금)부터 25일(일)까지 김포 현대 프리미엄 아울렛에 기아차의 신차 ‘스팅어’를 체험할 수 있는 프리미엄 팝업 스토어 ‘스팅어 스테이션(Stinger Station)’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스팅어 스테이션’은 보다 많은 고객들에게 프리미엄 퍼포먼스 세단 스팅어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된 전시 공간으로 방문 고객들은 △스팅어 차량 전시 △스팅어 브랜드 컬렉션 △4D VR 레이싱 체험 △프리미엄 시승 등 다양한 체험 요소를 통해 스팅어의 프리미엄 디자인과 상품성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스팅어 스테이션’에는 △3.3 터보 모델(하이 크로마 레드) △2.0 터보 모델(스노우 화이트 펄)의 스팅어 차량 2대가 전시되며, 스팅어만의 특별한 품격과 개성을 담아 낸 디자인 제품인 ‘스팅어 브랜드 컬렉션’도 함께 전시된다. 또한 2대의 스팅어가 펼치는 레이싱을 360도 가상현실(VR) 영상으로 생동감 있게 즐길 수 있는 ‘스팅어 4D VR’ 공간을 운영해 방문 고객이 스팅어와 한 몸이 되어 후륜 구동의 다이나믹한 퍼포먼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직접 스팅어를 타고 김포에서 인천 청라국제도시 인
(용인신문) 현대상선이 북중국~서인도를 잇는 신규 서비스를 개설한다고 9일 밝혔다. 현대상선은 고려해운과 프랑스의 CMACGM, 싱가포르의 PEL(Pendulum Express Lines), 인도 국영선사 SCI(Shipping Corp of India) 등 글로벌 4개 선사와 함께 북중국~서인도의 주요 항을 연결하는 컨테이너 신규 서비스를 개시한다. 신규 서비스명은 CWI(China West India Express)이며 4,600TEU급 컨테이너선을 현대상선 2척, CMACGM 1척, 고려해운 1척, PEL 1척, SCI 1척 등 총 6척 투입해 이번달 25일부터 매주 서비스할 계획이다. 기항지는 천진청도-닝보-싱가포르-포트켈랑-나바셰바(인도)-문드라(인도)-하지라(인도)-콜롬보(스리랑카)-포트켈랑-싱가포르-천진 순이다. 현대상선은 한국~중중국~남중국~서인도를 잇는 CIX(China India Express) 노선에 8,600TEU급 컨테이너선 6척을 투입해 현재 홍콩의 Gold Star Line과 공동 운항을 하고 있으며 이번 CWI 신규 서비스를 통해 북중국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대한다. 현대상선은 이번 신규 서비스 개설을 통해
(용인신문) SK주식회사가 보유 중인 SK증권 지분 전량에 대해 공개 매각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SK㈜는 보유 중인 SK증권 지분 매각 추진을 위해 매각 주간사를 선정했다고 8일 공시했다. 매각 주간사는 삼정 KPMG이다. 그동안 내부적으로 검토하던 SK증권 지분 매각 작업을 본격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절차에 돌입한 것이다. SK㈜가 매각할 주식은 SK증권 발행 주식 총수의 10%다. 이번 매각 추진은 공정거래법상의 지주회사 행위제한 규정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다. SK증권 지분 10%를 보유한 SK C&C가 2015년 SK㈜와 합병하면서 SK㈜는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금융회사 주식 소유 금지 규정에 따라 올해 8월까지 SK증권 지분 전량을 처분해야 한다. SK주식회사는 그동안 SK증권 매각을 두고 다양한 방안을 두고 심도 있게 고민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일부에서는 SK그룹 내부에서 SK증권 지분을 보유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왔으나 SK㈜는 경쟁 입찰을 통해 매각 과정상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SK증권 구성원의 고용 안정과 향후 SK증권의 성장 및 발전을 추진할 수 있는 인수자를 찾아 매각하는 쪽을 택했다. SK(주)는 공정거래법을
(용인신문) 산업통상자원부는 6. 7.(수) 공동위원장인 정만기 제1차관과 정갑영 연세대 전총장 주재로 제10차 ‘사업재편계획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아이티씨(전선), 엘지(LG)실트론(반도체 소재), 신풍섬유(섬유), 영광(조선기자재), 원광밸브(조선기자재) 등 5개 기업의 사업재편계획을 신규로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재 누적 승인기업은 총 37개사로 늘어났다. 이번에는 제조업 분야의 전선, 반도체 소재 업종에서 기업활력법을 활용한 사업재편 ‘첫 사례’가 나왔다. 기존의 조선·철강·석유화학 등 3대 공급과잉 업종 이외에 제조업 전반으로 자발적 사업재편 분위기 확산하고 있다. 전선업종은 지난 4월 업계 내 ‘전선산업발전위원회’를 선제적으로 발족해 사업재편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확산해 나가고 있다. 이번 전선업종의 첫 사업재편 승인을 계기로 향후 동종업계에서 사업재편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소재 업종은 이번에 웨이퍼 분야의 사업재편을 추진했다. 기술발전으로 수익성이 약화된 분야(소구경 웨이퍼)는 줄이고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대구경 웨이퍼)에 투자해 향후 시장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