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영원을 향하여』는 미래 인류에 관한 이야기이다. 나노로봇 기술은 불멸의 인간을 만들어냈지만 인식은 그렇지 못해 결국 절멸의 길을 가게 될지도 모르는 위기에 처해 있다는 설정이 이 소설의 전반부이다.
또, 이 작품은 욕심 많은 인간의 서사이기도 하다. 누구나 불멸을 누릴 수는 없다. “저의 생존은 저의 가치에 달려 있고 저의 가치는 저를 운영하는 분들이 제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라고 말하는 인공지능 파닛의 말처럼 인간과 기계, 심지어 인공지능조차도 스스로 존재하지 못한다. 소설 속에서 가치를 판단하는 세력은 제너스라는 조직인데 이들은 철저하게 효율과 효용이 우선이다.
또, 이 작품은 인간 존재론을 탐구한다. 죽음을 무릅쓰고 타인을 구하려는 복제인간에게 또 다른 복제인간이 묻는다. “살아있는 것보다 인간이 되는 게 중요해?”(274쪽) 불멸 대신 필멸을 각오한 복제인간은 또 답한다. ‘어차피 죽을 테니까 옳은 일을 하는 건 아냐. 옳은 일이기 때문에 옳은 일을 하는 거야.’(284쪽) 복제인간이 복제인간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내던지는 사건은 인간이 결국 아름다운 목적을 위해 살며 그것은 바로 사랑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뿐만아니라 이 소설은 반복해서 재현되는 예술에 대한 사유를 이야기로 풀어낸다. 복제인간 엘렌이 자신의 연주가 단순한 복제가 아님을 깨닫기까지의 과정에 그 답이 있다. 델타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과거의 시가 현재에도 미래에도 여전히 유효한 이유도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