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신문 | 스마트폰이 일상화되면서 대중 누군가 사진과 친근하게 지낼 수 있게 되었다. 과거에 사진은 특별한 기술을 가진 사람이 찍어 특별한 과정을 거쳐야만 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사진 비평가도 만날 수 있었다. 프랑스 최고 학술기관인 콜레주드프랑스(College de France) 교수였던 롤랑 바르트는 사진 비평가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며 그의 저술 『밝은 방』(동문선, 2008 번역 출간)은 사진에 관한 에세이이자 인문예술학 부문의 스테디셀러이기도 하다. 박상우는 『롤랑 바르트, 밝은 방』에서 바르트의 저술을 설명한다.
박상우가 소개하는 원저 『밝은 방』은 1979년 프랑스 영화잡지 《카이에뒤시네마(Cahiers de Cinema)》의 영화관련 총서의 일환으로 요청된 저술이지만 바르트는 영화 대신 사진에 대한 에세이를 집필한다. 총 48장의 글이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어 수록되었다. 이 저술에서 바르트는 사진을 하나의 현상학으로 설명하며 사진의 본질에 대해 적어나간다. 바르트는 사진은 죽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피력하며 아울러 ‘스투디움’과 ‘푼투쿰’의 개념을 소개한다. 『롤랑 바르트, 밝은 방』은 바르트의 저술이 요약되어 대중이 조금 더 가볍게 『밝은 방』이 소개하고 있는 개념에 다가갈 수 있게 안내한다.
바르트의 글은 입체 낭독극 《밝은 방》의 모티브가 된 에세이 이기도 하다. 이 연극은 바르트의 개념 중 푼투쿰 개념을 차용했다고 하는데 11월 4일에서 9일까지 대학로 ‘극장 플랫폼74’에서 만나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