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용인시민청원은 용인시 홈페이지 ‘시민청원 두드림’게시판에 올라온 청원 중 용인신문 편집국 자체 검토를 통해 게재하는 코너입니다. 또 시민들이 직접 용인신문사에 보내준 민원성 글도 게재 가능합니다. 시민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지난 2016년 구성의 경찰대가 옮겨간 부지에는 사용하던 시설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LH공사는 해당 부지에 6500 가구의 아파트를 지으려고 합니다. 수도권 과밀현상 해소를 위해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옮겨놓고 그 자리에 아파트단지를 건설하는 것은 당초 취지에 벗어난 일입니다. 이 지역은 상습교통정체구간으로 큰 불편을 겪던 곳이라 교통지옥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큽니다. 게다가 플랫폼시티가 조성되면 2.5km 거리에 1만1000 세대가 들어서게 됩니다. 용인은 이미 아파트로 포화상태입니다. 우리 시민들은 내가 살아가는 곳, 우리가 만들어갈 미래를 위해 생각과 힘을 모아야 합니다. 시민들의 상상과 참여로 옛 경찰대 시설들을 재생하여 청년들의 주거, 일터로 활용하고 생활문화, 생활체육, 업사이클센터, 도시농업, 커뮤니티케어 등 급변하는 사회에서 더 나은 삶을 위해 대안을 모색하고 실천하는 시민공간으로
[용인신문] 용인시민청원은 용인시 홈페이지 ‘시민청원 두드림’게시판에 올라온 청원 중 용인신문 편집국 자체 검토를 통해 게재하는 코너입니다. 또 시민들이 직접 용인신문사에 보내준 민원성 글도 게재 가능합니다. 시민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저는 용인삼계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권예원이라고 합니다. 현재 경영경제동아리 부장을 맡고 있는데요. 저희 동아리에서 이번에 지역활성화 활동을 하며 부원들끼리 고민해본 사안들을에 대해 청원해보고자 합니다. 저희 동아리에서는 용인시 하면 에버랜드와 경전철이 바로 떠올릴 수 있게 경전철을 활성화 해보자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먼저 첫 번째로 계단 문구입니다. 경전철 이용을 위해서는 계단을 이용해 역까지 올라가야 합니다. 경전철 이용객들이 힘이 나는 문구를 보며 행복하고 활기찬 하루를 기분 좋게 시작하고, 저녁에는 보람찼던 하루를 다시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두번째로 경전철의 노래입니다. 항상 경전철을 타보면 적막이 흐른다는 것을 느꼈고, 이 적막을 해소해줄 편안한 음악이 있으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세 번째로 페인팅입니다. 역에 들어가기 전 계단과 육교에 예쁜 그림을
[용인신문] 용인시민청원은 용인시 홈페이지‘시민청원 두드림’게시판에 올라온 청원 중 용인신문 편집국 자체 검토를 통해 게재하는 코너입니다.또 시민들이 직접 용인신문사에 보내준 민원성 글도 게재 가능합니다.시민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저는 초등생자녀를 둔 학부모입니다.참여수업 등을 갈 때마다 공교육의 문제점 보이더군요.그중 심각하게 느껴지는 부분이 학급당 정원입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정원이 늘어 담임교사 혼자 감당하기에 심각하다는 생각을 했는데,다른 학부모들도 같은 생각입니다. 초등교육은 진학을 위한 학습 보다 정서와 인격에 중심을 둔 가장 기초적 교육입니다.아이들 중에도 공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정서적으로 지도가 필요한 아이들도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에겐 선생님의 특별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지만,한 분의 선생님이 감당하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물론 가장 좋은 방법은 학급당 정원을 줄이는 것이지만,현실적으로 어렵다면 보조교사를 파견하는 것도 대안입니다.보조교사들은 선생님을 도와,아이들을 좀 더 심도 있게 지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이미 성남은 시에서 보조교사를 파견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고,그 만족도도 높습니다. 우리 용인시도
[용인신문] 용인시민청원은 용인시 홈페이지 ‘시민청원 두드림’게시판에 올라온 청원 중 현행법 등에 저촉되지 않은 내용의 청원을 용인신문 편집국 자체 검토를 통해 게재하는 코너입니다. 또 시 홈페이지 두드림 게시판에 청원하지 않았더라도, 시민들이 직접 용인신문사에 보내준 민원성 을도 게재 가능합니다. 시민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용인시 처인구남사면은 기존의 남사주민 7000여명과 지난 2018년 6월부터 입주를 시작한 한숲시티 입주민 6800세대(약 2만 5000명)가 거주하는 지역입니다. 한숲시티는 분양당시 약속과 달리 학교, 도로, 교통 등 각종 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대다수가 입주를 끝낸 상황입니다. 우리나라 신도시 거주하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그렇듯 한숲시티 주민들도 서울로 출퇴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분들의 출퇴근 모습을 보면 자신의 승용차로 출근하거나, 한숲시티에서 용인시청까지 마을버스(또는 셔틀)를 30여분 타고 간 뒤 용인시청에서 경전철 또는 광역버스를타고 서울까지 이동해야 합니다. 용인과 서울을 운행하는 광역버스 5000A, 5001, 5001-1, 5005번 노선은 용인시청까지만 운행을 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