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수)

  •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1.8℃
  • 맑음서울 -0.8℃
  • 흐림대전 2.8℃
  • 흐림대구 2.6℃
  • 맑음울산 1.5℃
  • 흐림광주 4.6℃
  • 구름조금부산 3.9℃
  • 흐림고창 3.3℃
  • 제주 9.9℃
  • 맑음강화 -3.1℃
  • 구름많음보은 1.0℃
  • 흐림금산 2.7℃
  • 구름많음강진군 4.8℃
  • 맑음경주시 -2.2℃
  • 구름조금거제 3.4℃
기상청 제공

시론

전체기사 보기
시론

통 크고 속 깊은 우리 시대를 위한 ‘사람 감싸기’

이경철(시인, 전 중앙일보 문화부장)

용인신문 기자

용인신문 | “여기가 좋아//떼굴떼굴 뒹굴고 싶어라//뒹굴어/뒹굴어//저 비탈 아래 숯내 이르러/홀짝홀짝 울고 싶어라//뒷산 잔등에 올라” 고은 시인이 최근에 쓴 시 「세상의 시 578」이다. 집 뒷산에 올라 탄천 숯내를 내려다보며 즉흥적으로 터져 나온 듯한 시, 참 천진스럽다. 모든 것이 텅 비어가며 깊어가는 이 가을날 어린애로 돌아가고 있다. 탄천 깨끗한 물로 숯 검댕이 같이 더러워진 몸을 씻으면 혼이 자유스러워진다는 숯내 전설을 떠올리게 하며 기쁨과 슬픔, 어림과 늙음, 이승과 저승 등 우리네 삶을 재단하는 2분법을 단박에 뛰어넘는 시다. 세계 최고 시인으로 대우받다 나락으로 유폐된 시인의 심사도 보일듯하다. 며칠 전 고은 시인을 탄천 앞 식당에서 오랜만에 만났다. 스페인에서 세계적인 문학상인 레테오상을 ‘국제적인 시의 모범’이란 이유로 받고 돌아왔고 또 위 시가 실린 신작 시집 『세상의 시』 4, 5권을 잇달아 펴내 후배 문인들이 마련한 축하 자리였다. 그런 모임은 극구 사양하면서도 92년 생애 전 체험에서 진심으로 우러난 말들을 들려줬다. “이제 나, 자연의 인간인 나로 돌아온 것 같아 좋아. 사회에 얽매인 나를 내려놓으니 말이야”라며 털어놓은 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