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용인신문] 이헌서재
실체적 진실 밝히려는 팽팽한 줄다리기

죽이고 싶은 아이

 

 

[용인신문] ‘실체적 진실’이란 재판을 할 때 사실에 근거해야 한다는 기본원칙인데 죄를 밝히고 형량을 정하는데 중요한 요건이다.

 

『죽이고 싶은 아이』는 무엇이 실체적 진실인지 밝히려는 독자와 화자 사이의 줄다리기가 잘 설계된 소설이다. 빠르게 진행되는 사건과 인물소개 사이에 독자가 잠시 한숨을 돌리는가 싶으면 다음 사건이나 인물이 다시 혼란에 빠트리는 형국이다.

 

‘죽이고 싶은 아이’를 만드는 프레임은 히틀러의 선전관 괴벨스가 생각했던 방법과 다르지 않다. 요제프 괴벨스는 “대중의 잠재의식 속에 있는 인종적 편견이나 증오 또는 공포심을 극대화해 선전에 활용”(정철운, 『요제프 괴벨스-프로파간다와 가짜뉴스의 기원을 찾아서』(인물과사상사, 2018, 85~86쪽)하여 히틀러를 독일의 수장으로 만들었다. 히틀러를 뽑아준 이들은 경제공항으로 두려움에 빠진 대중들이었다. 소설 속 인물들도 히틀러를 수장으로 만든 대중처럼 각자의 두려움과 욕망에 의해 타인을 정의하고 재단하며 혐오한다. 이해관계가 맞지 않으면 누구든지 타인에게 등을 돌리는 자기애의 극단 그리고 냉소. 이러한 것들이 한데 어우러져 ‘죽이고 싶은 아이’가 완성된다.

 

증언은 사실인 것처럼 위조된다. 하지만 끊임없이 달아나는 실체. “죄가 있으면 벌을 받아야죠. 암요. 헌데 그 학생한테 진짜 죄가 있는지 없는지를, 아니 경찰도 아니고 판사도 아닌 양반들이 왜 결정한답니까?”(『죽이고 싶은 아이』, 158쪽) 작품에서 말하는 어떤 인물의 대사는 어쩐지 요즘 우리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과 무관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어느 순간부터 뉴스가 마치 광고처럼 느껴지기 시작했다. 누군가 이제 멈추라고, 뉴스로 돌아가라고 말해야 될텐데, 작가도 이와 비슷한 생각을 한 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