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가을비가 내리면 봄부터 여름 내내 농사를 지은 곡식들을 망칠 가 봐 이 객비는 왜오느냐고 반갑지 않은 손님을 맞이하는 듯 걱정들을 한다.
친구는 비가 오면 좋다고 하고, 나는 구중중하고 마음도 울적해진다고 싫다고 하던 때가있었다. 물론 유익한 물이지만 때로는 홍수로 인한 피해로 염려가 되기도 한다.
종일 비가 내리고 있어 꼼작도 안하고 집에서 글이라도 써야 되겠다는 마음으로 있으나 생각뿐이지 혼자 중얼거리며 냉장고 문을 열었다 닫았다 하고 있다.
경남 보성에 있는 차(茶)선생이 보낸 녹차 한잔을 우려 들고 공연히 서성거리며 바깥을 내다보며 물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라고 한다.
하늘에서 쏟아지는 빗물이나 눈을 강수량이라고 하는데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곳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걱정들이다.
땅은 아스팔트로 된 길이 많고 농촌에는 앞뒤로 물이 흐르던 것이 지금은 건천(乾川)으로 변해있다.
그 전에는 땅을 10m만 파도 샘물이 나왔으나 지금은 20m-30m를 파 보아도 물이 나오지 않는다고 하는데, 한 가구 당 4인 가족 기준으로 월 평균 물을 20톤을 쓰고 있고, 양변기를 쓸 경우 절반인 10톤을 더 쓰고 있으며 성인 남자가 하루 8회 화장실을 이용하고, 성인 여자는 10회를 사용한다고 한다.
사람이 숨을 쉬지 않고 버틸 수 있는 시간은 3분이고, 물을 전혀 마시지 않고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은 7일인데 인체의 70%가 물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지구촌 전체의 물의 질이 불량不良하여 문제가 되는데, 물을 100%로 할 때 97%가 바닷물이고 25가 얼음이며,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지하수와 지표수를 합쳐 고작 1% 밖에는 안 된다고 한다.
물은 없어서는 안 될 생명의 기본(基本)이며 돌고 도는 자원(資源)인데 앞으로 21세기는 물의 전쟁이라고 한다.
세계 인구는 60억을 돌파했는데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먹는 수준이 바뀌면서 환경오염 문제가 크게 걱정되는 현실인데, 또 자동차등 생활편의 문화가 높아짐으로서 공기오염은 어떠한가?
모두 심각한 일이라 아니할 수 없는 것이 전 세계 실정인데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높고 국토는 좁기 때문에 년 강수량을 살펴볼 때 세계에서 손꼽히는 물 부족 국가이다.
수자원(水資源)은 줄어드는 반면 인구증가와 산업화로 오염되고 있는데, 요즘 목욕탕 문화가 발달하면서 물의 소비량은 많고, 쓰는 사람도 나 하나쯤이야 어떠랴 하면서 틀어 놓고 헤프게 흘려보내면서 목욕을 하는 사람들을 볼 때 마음이 아픔을 다시금 느낀다.
물을 공급하기위해 땜을 건설하여 상수원을 만드는 것이 쉬운 일 이 아니라고 한다.
댐 건설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반대를 무릅써야 되고,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잃게 될 수도 있고, 수몰지역내에 오랜 문화유산들 을 잃게 되는 경우와 이 일로 인해 환경과 자연생태에 변화를 겪어야 되기 때문이고, 공사비도 많이 들기 때문이다.
모든 인류나 만물에게 없어서는 하루도 생태계를 유지할 수 없는 소중한 물이다.
‘물’ 절약 운동으로 다음 세대를 생각하면서 우리 모두가 공동의 이익을 위하여 노력하고 생활습관화 하여야겠다.
물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옛 경서에 있는 노자의 말씀으로 ‘물의 육덕’ 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 물의 육덕(六德)
물은 어떤 그릇에나 담기는 융통성(融通性) / 낮은 곳 을 찾아드는 겸손(謙遜) / 막히면 돌아가는 지혜(智慧) / 바위도 뚫는 물방울의 인내(忍耐)와 끈기 / 구정물도 받아주는 포용력(包容力) / 흐르고 흘러 바다를 이루는 대의(大義).
물은 이렇게 여섯 가지 덕을 갖추고 있다. 온 세상 삼라만상에 없어서는 안될 것이 물이다. 우리생명도 모든 우주 만물의 생태유지와 , 농, 공업과 건설도, 물이 없으면 할 수 없다는 것이 기정사실이다.
물 절약으로 다음세대를 생각하면서 우리 모두가 가정과 경제 나라 살림과 공동 이익을 위하여 노력하면서 생활습관화 하여야겠다.
■ 박 청자
- 성균관여성유도회 중앙부회장
- 용인시여성유도회 회장
- 수필작가회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