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통계로 보는 세상

중국 전승절은 ‘핏빛 항일투쟁’ 기념일

 

용인신문 | 2025년 9월 3일 9시(한국시간 10시)에 열린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다자외교 데뷔 공식 무대로 전 세계의 관심을 끌었다. 한국에서는 국가 의전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했다. 26개국의 정상급 인사가 참석한 중국 80주년 열병식은 중국 국영방송 CCTV를 통해 전 세계에 70분에 걸친 열병식이 중계되었다. CNN, BBC를 비롯한 서방의 주요 방송언론도 중국의 80주년 열병식을 실시간으로 방송하였다. 한국에서도 주요 방송언론이 실시간으로 CCTV에서 제공하는 열병식을 실시간으로 방송했다. 80주년 열병식에는 역대 최대규모인 2만 2000여 명의 인민해방군과 최신예 군사 장비가 동원되었다.

 

한국 국민은 중국이 80주년 열병식을 성대하게 거행한 것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10년 전 2015년 제70회 전승절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텐안먼(天安門) 망루에 올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바로 옆자리에 섰다. 하지만 80주년 열병식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위치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차지했다.

 

중국은 1937년 7월 7일에 발발하여 1945년 9월 2일에 끝난 중일전쟁에서 공식적으로 220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는 소련이 UN에 보고한 2700만 명의 사상자에 이은 두 번째 인명피해다. 중국은 전쟁으로 인한 질병과 기아로 인한 아사자(餓死者)까지 포함하면 3800여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밝히고 있다. 중국은 1937년 7월 7일부터 1941년 12월 7일 일본제국의 연합함대가 하와이 진주만을 공습하면서 발발한 태평양전쟁까지 그야말로 홀로 일본제국을 상대해야 했다. 만약 중국이 약 200여만 명에 달하는 일본군을 중국에 묶어두지 못했다면 태평양전쟁에서 미국은 훨씬 힘들게 싸워야 했을 것이다. 한국의 보수세력은 태평양전쟁에서 미국이 승리한 것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두 발의 원자폭탄 때문으로 착각하고 있다. 일본은 중일전쟁에서 50~70여만 명이 전사하고 117만 2200여 명이 부상했다. 이는 미국과의 전쟁에서 발생한 사상자 150여만 명과 맞먹는 피해다. 참고로 의장대가 든 깃발이 3종류인 것은 중국공산당기, 중화인민공화국 국기, 인민해방군기를 포괄한 것이다. 인민해방군기에 씌여 있는 八一이라는 숫자는 1927년 8월 1일, 인민해방군 창건일을 상징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