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웃는 얼굴. 나는 웃는 게 예쁜 사람이 좋다. 누구나 웃음을 머금으면 인상이 바뀐다. 웃음이 헤픈 사람이 좋다.
별것 아닌 일에도 크게 웃는 사람이, 가만히 보고만 있어도 웃긴 사람이 좋다. 웃을 때 입모양이 바뀌는 사람도 보조개가 생기는 사람도 눈이 예쁘게 접히는 사람도 좋다.
서로를 바라보고 웃을 수 있는 것이 좋다. 시시덕 거리면서 깔깔대며 살고 싶다.
[용인신문] 웃는 얼굴. 나는 웃는 게 예쁜 사람이 좋다. 누구나 웃음을 머금으면 인상이 바뀐다. 웃음이 헤픈 사람이 좋다.
별것 아닌 일에도 크게 웃는 사람이, 가만히 보고만 있어도 웃긴 사람이 좋다. 웃을 때 입모양이 바뀌는 사람도 보조개가 생기는 사람도 눈이 예쁘게 접히는 사람도 좋다.
서로를 바라보고 웃을 수 있는 것이 좋다. 시시덕 거리면서 깔깔대며 살고 싶다.
용인신문 | 아티틀란 호수로 올라가는 버스에 올라탔다. 방금 멕시코에서 넘어왔기 때문에 과테말라에서 처음 타는 로컬버스였다. 산길을 따라 구불구불 올라간다. 벌써 시원한 바람과 깨끗한 공기가 느껴진다. 직감적으로 알았다. 나 과테말라를 좋아할 거라는 걸. 푸른 나무들이 차창을 스쳐 지나간다고, 안개가 서서히 끼기 시작했다. 호수가 보이기 시작한다. 와- 조용한 탄성이 나온다. 고요한 물결, 이렇게 높은 곳에 호수가 있다는 사실이 나를 놀라게 했다. 세 개의 화산이 구름모자를 쓰고 호수를 감싸고 있었다. 내가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멋졌다. 아직도 마야 문화를 간직하고 있다는 마을에서 보낼 앞으로 며칠이 기대된다.
용인신문 | 멕시코 국경을 지나 세 시간 정도 달려서 아티틀란 호수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는 길목에 내렸다. 미국에서 수입된 은퇴한 스쿨버스들이 색색의 옷을 입고 운행하고 있다. 노선에 따라 같다거나 하지 않고 버스마다 다르다. 개성이 뛰어나다. 긴 의자가 앞자리에 다리가 닿을 정도로 촘촘하게 개조한 버스는 한자리에 두 명이 앉기엔 좀 넓고 셋이 앉기엔 자리가 부족하다. 여기에 사람이 타고 내리며 꼬불꼬불한 산길을 달린다. 그들이 가지고 탄 짐들로 버스는 짐칸까지 만석이다. 가끔 도시에 멈추면 과자와 음식을 팔러 좁은 복도로 상인이 올라와 시장통 같은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관광객들은 닭 실어놓은 버스마냥 빽빽하다고 치킨버스, 그러니까 닭장 버스라고 부른다. 그런데 나에게는 크게 불편하지 않았다. 산길을 달리면서 속도를 내는 운전기사님 덕에 몸이 좌우로 흔들려도… 색색깔의 옷을 입고 차에 타고 내리는 여성들 구경하느라 나는 바쁘다. 그 옷감을 짜는데 최소 2개월, 문양이 있다면 훨씬 오래, 거기에 빼곡히 놓은 수까지 하면 얼마나 걸렸을까 상상하면서. 한 할머님은 이 옷 만든 지 10년 됐다고 하며 보여주셨다. 멕시코에서도, 여기서도 느끼는 건 먼저 인사하
용인신문 | 이동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어 밤 버스를 타고 길을 나섰다. 뭉개고 있는 시간이 있는가하면 어떤 때는 훅 떠나가게 된다. 당일 아침에 이동하기로 결정했다. 국경으로 가자! 과테말라로 넘어가자. 밤 11시 버스를 타고 6시간을 달려 아침 6시에 멕시코 국경 근처 툭스툴라에 도착했다. 과테말라 넘어가는 버스가 한 시간 후인 7시에 있고, 저녁 9시에도 있다고 해서 좀 힘들어도 바로 넘어가기로 했다. 현지인들이 주로 타는 짧은 노선 로컬버스도 있다고는 하는데, 국경에서 문제 생길 수도 있고 치안 확인도 할 겸. 두 달간 지냈던 멕시코도 이제 안녕. 다른 루트에서는 가끔 돈을 요구하기도 한다는데 별 말없이 도장을 찍어줬다. 국경 넘는 길에 환전상들이 따라붙는다. 인터넷으로 검색한 환율보다 훨씬 안 좋은 환율을 제시하지만 현금을 조금이라도 가지고 있어야 맘이 편할 것 같아서 가지고 있는 페소 중 일부를 바꿨다. 이건 정말 잘한 선택이었다. 돈을 쥐어주고 환전상은 얼른 내려버린다. 1000을 줬으니 330을 줘야 하는데 300만 줬다. 앗 코베였다… 국경에서는 돈 단위와 물가가 바뀌면서 바보가 된다. 떼인 돈은 7000원 정도. 가난한 배낭여행자에겐 큰돈이지만
용인신문 | 와하카라는 도시에 와 있다. 톨레도라는 예술가가 엄청나게 유명한데, 판화와 그림, 조각까지 다양한 작업을 해왔던 작가다. 시내에 톨레도가 만든 예술 도서관이 있다. 무료입장으로 5000여 권의 예술 도서들을 볼 수 있다. 풀컬러로 된 작품집들은 꽤 가격이 나가는데 그런 책들이 가득하다. 근교에 있는 다른 공간에는 예술가들을 위한 레지던시를 운영한다고 한다. 돌아가셨지만 이렇게 다음 세대의 예술가들을 위한 공간을 남겨둔 게 멋졌다. 친구가 소개해준 친구를 만났다. 판화를 하는 친구 집에는 큰 프레스 기계와 수많은 그림이 있었다. 이런 멋진 작업실을 보면 나도 더 열심히 그림을 그려야겠다, 쉬지 않고 그려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덕분에 판화를 배울 수 있었다. 익숙했던 펜과 붓을 놓고 조각칼로 선을 그리다 보니 완전히 다른 세계를 만난 것 같았다. 어느 부분이 얼마나 밝아야 할지, 검정색이 얼마나 들어가면 좋을지 완전히 모르는 것 투성이였다. 조각하는 과정뿐 아니라 종이를 준비하고, 잉크를 찍고, 프린트하고 말리고 정리하는 과정까지. 새로운 기술을 배운다는 건 새로운 세상을 만나는 것과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서투르게 첫 프린트를 마쳤다.
용인신문 | 멕시코에 머무른 지 한 달째다. 조금씩 멕시코 음식에 대해 알아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멕시코 하면 가장 유명한 타코. 타코는 가장 싸게 배를 채울 수 있는 길거리 음식이다. 육천 원 정도. 멕시코 물가가 동남아만큼 쌀 거라고 생각한 내 생각은 전혀 틀렸다. 처음 와서 꽤 놀랐다. 한 끼에 1만 원~1만 5000원 정도 한다. 물도 사 먹어야 한다. 멕시코에서는 물에 과일을 갈아 넣고 설탕도 넣은 주스를 같이 마신다. 더운 나라라 그런지 달달 한 맛이다. 주식은 옥수수로 만든 또르띠야이다. 이걸 얇게 만드느냐, 콩과 함께 반으로 접는지, 펼치는지, 피자처럼 먹는지, 그냥 먹는지, 바삭하게 먹는지에 따라 이름이 바뀐다. 수프를 먹을 때도, 밥을 먹을 때도 같이 곁들인다. 난 한국인의 피를 무시할 수 없는 게, 일주일에 한 번은 밥 메뉴를 먹어줘야 한다. 아니면 조금 힘들다. 그래도 그리울 건 친구와 함께 밤늦게 먹던 타코의 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