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신문 | 점심을 먹을 때는 아이들이 몰려온다. 외국인이 신기한가보다. 한국에서 왔다고 하니 오징어 게임에 출연했냐고 물어본다. 나는 오징어 게임 아냐는 질문인 줄 알고 “응!”이라고 했다가 큰일이 났다. 애들이 소리를 지르고 난리가 난 것이다. 10명까지는 괜찮은데 그 이상의 아이들이 팝콘 형식으로 물어보는 질문 세례는 정말이지, 정신이 없었다. 번호 몇 번이었어요? 누구 봤어요? 사실 애들이 내게 말하면 그 들뜬 장력과 빠른 말 때문에 잘 알아들을 수가 없다. 미안 내가 씨sí와 노no만 하는 이유가 있어. 애들은 내가 스페인어가 서툰 것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눈치다. 왜 대답을 못하지…? 하고 쳐다본다. 그날은 한참 후에야 알았다. 아 오징어 게임을 할 줄 아냐는 질문이 아니라 오징어 게임에 출연했냐는 질문이었구나. 이런 작은 오해와 소통의 어려움은 자주 겪는다. 새로운 언어를 배우며 오는 에피소드들. 미안함과 당황스러움 속에 하하 웃으며 애들을 피해 다녔다. 열 명 이상은 어렵다, 얘들아….
용인신문 | 일요일 밤에 불을 지피고 동그랗게 둘러앉았다. 익숙한 분위기와 모르는 사람들. 신기하게 여행 중에 원하는 것을 말하면 곧 이뤄지곤 했다. 저번 주의 나는 선생님을 찾고 있었고,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작은 서클이 있었으면 했다. 이번 주에는 생태학교에서 봉사했다. 개교한 지 30년 되었으며 전교생 수는 80명 정도이다. 학생들과 만날 일은 거의 없었고 하루 6시간 일을 한다. 주된 일은 두 가지였다. 대나무로 산책길을 정비하는 것과 대나무 바닥을 만드는 것. 둘 다 몸을 쓰는 일이라 기합을 넣고 일했다. 삽질, 톱질, 망치질, 도끼질이라니. 얇은 대나무로 노후된 대나무 난간을 교체했다. 까매진 대나무는 금방 부서졌다. 푸스스. 계단도 만들었다. 대나무를 적절한 길이로 자르고 (50~80cm) 경사진 땅의 흙을 막는다. 산에서 보던 그런 산책로들을 만드는 방식이었다. 긴 부분을 다듬은 게 아니었는데도 며칠이 걸렸다. 큰 대나무를 여는 게 가장 하이라이트. 도끼를 들고 대나무의 마디마다 3㎝ 간격으로 도끼질을 한다. 도끼가 잘 박힐 수 있게 자체 무게를 사용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조준하는 게 어려웠다. 명상이라고 생각하고 호흡과 함께 도끼질했다. 같이
용인신문 | 콜롬비아에는 세계의 큰 산맥이 있다. 안데스산맥으로 이어진다. 안데스산맥은 지구상에서 가장 길게 뻗어있고, 무려 7000킬로미터에 달한다. 베네수엘라부터 칠레까지. 친구네 집은 첫 산맥을 넘어 중간에 있는 Inzá라는 소도시 근처이다. 작은 차에 넷이 옹기종기 앉았다. 짐이 한가득이라 차 위에도 대롱대롱 매달았다. 처음 출발할 때 날씨는 파란 하늘. 고도가 높아지며 안개와 구름이 끼고 얕은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가장 높은 지역에서는 한 해에 단 1cm가 자란다는 나무 프라엘레혼(frailejón)이 곳곳에 자라고 있다. 3미터가 넘어 보이니 300년은 족히 살았을 나무. 한참을 바라보다가 서둘러 차로 돌아간다. 아 추워!!!
용인신문 | 콜롬비아에 있는 대나무 건축 워크숍에 왔다. 페루의 호스텔에서 같은 방을 썼던 친구에게 정보를 받았다. 오래 여행하는 장기 여행자들이 자주 쓰는 방법 중 하나는 곳곳에서 자원봉사(발룬티어)를 하는 것이다. 주로 식사와 공간을 제공 받고, 하루에 4시간~5시간 정도를 일한다. 호스텔, 커피농장, 동물보호소, 개인 가정, 건축 프로젝트 등 종류도 다양하다. 한 번에 여러 명의 자원봉사자를 받는 곳에 가면 친구들을 사귈 수 있는 것은 덤이다. 주로 유럽과 미국 친구들이 많다. 대나무 건축의 개요와 가장 많이 쓰는 세 가지 방식을 배웠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자연스러운 굴곡을 만드는 과정이었다. 대나무는 특장점이 잘 구부러진다는 것이기 때문에 나무집과도 다르게 곡선을 사용할 수 있다. 우리는 말뚝을 박아놓고 대나무를 겹쳐 쌓아서 큰 하나의 기둥을 만들었다. 이는 그대로 1층의 기둥이 된다. 이 아름다운 곡선을 이렇게 쉽게 만들 수 있구나!
용인신문 | 여행을 시작하기 전, 꿈을 꿨다. 밝아오는 새벽빛을 맞으며 언덕 위에 한 여자가 서있다. 당장 오늘 어디서 잠을 자게 될지 모르지만 하나도 불안하지 않은 모습이었다. 주어진 하루에 감사할 뿐이었다. 작은 가방을 메고, 뒤편으로는 갈대가 흩날린다. 여행 중에도 가끔 그 모습이 떠올랐다. 계속하는 질문은 내가 왜 이 길을 떠났을까. 벌써 7개월이 지났다. 흔한 표현이지만, 시간 참 빠르다. 처음 길을 나서면서 느꼈던 감정은 무언가를 찾고 있다는, 그립다는 감정이었다. 어디로 가야 할지, 누굴 만나야 할지, 무엇을 해야 할지 하나도 알 수 없지만, 그저 가야 한다는 것만 알고 있는 상태였다. 그래서 나 자신이 의심스럽기도 했다. 왜? 지금 꼭? 이라는 질문에 나 자신도 대답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움직이다 보면 무언가 찾으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마음처럼 쉽지 않았다. 이동하기도, 원하는 것을 발견하기도 쉽지 않았다. 콜롬비아에서 발견한 진심은, 오히려 자기 자신에게 진실하라는 가르침이었다.
용인신문 | 드디어 마추픽추에 가는 날, 새벽 6시에 길을 나섰다. 걸어서 한 시간 정도 가면 마추픽추 첫 번째 매표소가 있다. 표를 확인하고 한 시간 반 정도 등산하면 두 번째 매표소에서 한 번 더 확인하고 각자의 루트로 갈라진다. 해도 뜨지 않은 새벽, 쌀쌀한 바람을 맞으며 걷기 시작한다. 천천히 마추픽추 산에 올라 입장한다. 나는 너무 유명한 유적지들은 크게 기대를 하지 않는다. 이미 본 자료들이 너무 많으므로 기대가 크면 실망하는 때도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추픽추는 정말- 정말 기대 이상이었다. 하루 더 오고 싶을 정도로. 하나하나 갈아서 맞췄다는 돌들을 쌓아놓은 걸 눈앞에서 보면 “이걸 도대체 어떻게 옮겼지?” 하는 말이 절로 나온다. 이렇게 높은 곳에 도시를 건설해놓고 잉카사람들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높은 천문학적 지식과 농경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면서 어떤 이유로 몸을 숨겼을까. 아직 아무도 그 실체를 모른다는 사실이 나를 두근거리게 했다. 스페인 정복자들도 마지막까지 찾지 못했던 비밀의 땅,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 상상의 나래를 잔뜩 펼치며 한참을 앉아있었다. 와봐서 다행이야. 언젠가 또 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