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높이로 날아오른 새 김중일 아주 작은 새가 있었다. 먼지보다 작은 새였다. 제 그림자로 세상을 고이 덮으려했던 새였다. 깊고 깊은 높이로 날아오른 새가 있었다. 날 새도록 새는 날고 날았다. 날개가 바람에 다 녹아 버려서 그만 하늘에 스몄다. 낮에는 흰 그림자로 밤에는 검은 그림자로 세상을 덮었다. 우리는 모르는 새 그 새의 그림자를 입고 살았다. 우리도 날개가 다 녹도록 날았다. 새와 함께 파란 하늘이 되었다. 결국 그 새는 세상의 가장 높은 봉우리에 다다랐다. 희생자의 무덤 위였다. 김중일은 먼지보다 작은 새가 있었다고 노래한다. 먼지보다 작은 새가 있을까. 그렇게 작은 몸으로 세상을 고이 덮을 수 있을까. 깊고 깊은 높이가 있을까. 그렇게 날아오른 새가 있을까. 날개가 바람에 녹는 새가 있을까. 녹아서 하늘에 스며 하늘이 되는 새가 있을까. 낮에는 흰 그림자로 밤에는 검은 그림자로 세상을 덮는 것은 하늘일까. 새의 영혼일까. 깁중일의 「깊은 높이로 날아오른 새」는 질문 가득한 시다.‘아주 작은 새’는 ‘깊고 깊은 높이로 날아오른 새’이다. 이 시의 비의가 숨어 있는 문장이다. 먼지보다 작은 새는 영혼이다, 영혼이 아니면 그렇게 작은 몸으로 세
소학서제(小學書題)에는 전엔 좋은 글이었지만, 요즘 시각으로 보면 다소 껄끄러운 글이 많다. 그중 하나가 이렇다. 옛날 소학교에서(고자소학古者小學) 사람을 가르치되(교인이敎人以) 물 뿌리고 쓸며(쇄소灑掃), 응하고 답하며(응대應對), 나아가고 물러나는(진퇴進退) 예절(지절之節)과 어버이를 사랑하고(애친愛親), 어른을 공경하며(경장敬長), 스승을 높이고(융사隆師), 벗을 친히 하는(친우親友) 도로써 하였으니(지도之道) 이 모두는 대학에서 가르치는(개소이위皆所以爲) 몸을 닦고(수신修身), 집안을 가지런히 하고(제가齊家), 나라를 다스리고(치국治國), 천하를 평안히 하는(평천하平天下)는 근본이 되는 것이다(지본之本). 태어 난지 8세가 되면 배우는 글이 소학이다. 소학을 일러 어린이 공부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는 것이다. 어려서 반드시 몸으로 습관을 들여야 할 공부가 소학인 셈이다. 소학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더 보탤 것도, 더 뺄 것도 없는 꼭 필요한 글만 모아 기록한 책이다. 습관이 좋은 버릇으로 몸에 익혀 가고자함에 대한 부모의 바램이 오롯이 담겨있는 글인 셈이다. 그래서 이를 흔히 소학(小學)의 삼절 사도라 부르는데 삼절(三節)은 쇄소(灑掃), 응대(應對),
<용인신문>
최은진의 BOOK소리 132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미술 만나기 방구석 미술관 ◎ 저자 : 조원재 / 출판사 : 블랙피쉬 / 정가 : 16,800원 우아하고 고상하기만 한 게 미술이 아니었다. 누군가의 삶이 낳은 미술을 들여다보고 14명의 미술계 거장들이 방구석을 찾아와 수다 떠는 멋진 광경을 상상해 보라. 이름은 들어봤으나 제대로 알지 못했던 화가들의 작품 세계와 그 뒷이야기들이 어찌나 흥미진진한지 웬만한 소설보다 손에서 놓기 어렵다. ‘미술관 앞 남자’ 자칭 ‘미남’이 별명인, 미술에 본능적으로 끌렸다는 저자 조원재. 그는 ‘미술은 누구나 쉽고 재밌게 가지고 놀 수 있는 장난감’이라는 모토 아래, 미술에 대한 오해와 허례허식을 벗겨 ‘미술, 사실은 별거 아니구나!’를 깨닫고 즐기길 바라는 시도를 한다. 방구석에 앉아 가볍게 유쾌하게 미술이라는 친구와 즐겁게 놀아보자. 알고보니 예술가들도 우리와 별반 다른 게 없다. 그들도 우리처럼 사랑에 울고 웃고 죽음을 두려워하고 다가올 미래를 걱정했다. 평생 죽음을 두려워했으나 장수의 아이콘이 된 뭉크, 알고 보니 원조 막장드라마의 주인공 프리다 칼로, 아름다운 발레리나가 아니라 성범죄 현장을 스케치로 고발한
이우현더불어민주당 용인병지역위원장 혜경궁 홍씨는 정조대왕의 생모이자 사도세자의 정빈(正嬪)이다. 1735년 태어나 순조 15년인 1816년 죽었다. 1762년 7월4일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8일 만에 아사한 이후 혜빈 홍씨는 세손 정조를 지키기 위해 노심초사해야 했다. 조선왕조 임금 중에 가장 명이 길었던 영조는 31세에 왕위에 올라 83세에 승하하기 까지 무려 52년간 조선을 통치했다. 사도세자는 영화로도 만들어졌고 드라마로도 여러 번 제작되었다.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하고 정조대왕이 재평가되면서 사도세자는 극적인 미화과정을 거치면서 비운의 주인공으로 재조명되었다. 사실적인 역사의 기록만을 참고한다면 사도세자는 광인에 가까웠고 부왕인 영조를 죽이려 하다 끝내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정조의 피 끓는 사부곡을 보면 사도세자의 죽음에 엄청난 음모가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짐작과 착각도 든다. 하지만 여러 정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해 보아도 사도세자는 국본(國本)으로서 부적합했고 영조가 자식을 죽이는 결정을 할 수 밖에 없었던 패륜을 저질렀던 것으로 보인다. 혜경궁 홍씨는 남편이 죽임을 당할 때 자식을 택했다. 혜경궁 이라는 칭호는 아들인 정조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쌀쌀한 날씨에 후루룩~ 구성의 숨은 맛집 동네마다 한두 개, 아니 여러 개씩 있는 칼국수집! 체인점도 많고, 정말 흔히 있지만 제대로 맛을 내는 집은 드물지요. 국물이 괜찮으면 면이 아쉽기도 하고, 칼국수가 맛있으면 김치가 처지기도 하지요. 그런데 용인 구성에 위치한 ‘유성 손칼국수’는 국물은 물론이고, 면발·김치·만두까지 흠 잡을 곳 없는 곳이라 소개해 드리려합니다. 구성농협 근처에 위치한 ‘유성 손칼국수’는 상호만 봐서는 체인점 분위기입니다. 그래서 별 기대 없이 방문했는데 체인점 아니라고 하시네요. 살짝 안쪽에 모퉁이 단독 건물인 ‘유성 손칼국수’는 주차장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주변에 어렵지 않게 주차가 가능하고자리는 모두 좌식. 메뉴는 계절 메뉴 콩국수를 제외하면해물 손칼국수와 수제 왕만두 두가지.아쉬운 점은칼국수가2인부터 가능해서 혼밥은 불가능한 곳입니다. 주문과 동시에 두 가지 김치, 콩나물과 함께보리밥을 애피타이저로 내어주십니다. 이렇게 나오는 집이 몇 군데 있는데 ‘유성 손칼국수’의 보리밥이 더 특별한 이유는 함께 넣고 비벼 먹는 열무김치!시쳇말로 인생 열무김치더라구요. 근래에 먹어본 열무김치 중에서 단연 일등이었어요. 국물까지 제대로!
<용인신문>
새 김정환 나보다 너 강력한 근육이다. 나보다 더 이유가 분명한 부리다. 나보다 더 목적이 뚜렷한 시선이다. 나보다 더 불길한 운명이다. 나보다 더 엄혹하 중력이다. 그래서 어디에나 있는 새. 나 몸무게 없다. 연민 없이는. 한 천년 전부터. 김정환의 우주의 중심은 시인 자신이다. 시인을 중심으로 모든 연민과 모든 근육과 모든 부리와 모든 목적과 모든 운명과 모든 중력이 배치된다.‘나보다 더’라는 구절의 반복은 시인이 우주의 중심을 이룬다는 언표다. 그의 우주는 새와 부딪쳐 산산조각이 난다. 우주의 중심이 새로 옮겨 가는 것이다. 새의 근육은 날 수 있는 근육이다. 시인의 근육은 항전하는 근육이다. 날 수 있는 근육이 더 강력하다. 새의 부리는 먹이를 쪼는 일이나 먹이를 사냥하는 일에만 쓴다. 사용하는 이유가 시인보다 분명하다. 시인의 부리는 독설과 패설과 온갖 욕망에 동원된다. 사용하지 않아도 될 곳에 사용한다. 설화를 부르는 부리다. 새의 시선은 목적이 뚜렷하다. 어느 가지로 옮겨 갈지, 어는 깃털에 목을 묻을지, 어느 먹이를 낚아챌지가 뚜렷하다. 시인의 시선은 늘 흔들리고 불안하다. 목적이 흐려지고 사물의 본질이 안보이고 문장의 빛이 어디쯤서 흐려지
옥스퍼드사전은 2016년 세계(世界)의 단어로 ‘탈진실(post-truth)’을 선정한바 있다. 탈진실의 시대를 반증하듯 ‘가짜뉴스’가 사회적 논란이다. 가짜뉴스는 언론사 오보로부터 인터넷 루머에 이르기까지 스펙트럼이 넓고 혼란스럽다. 언론학회에서는 가짜뉴스를 ‘정치·경제적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언론보도의 형식을 하고 유포된 거짓 정보’로 정의했다. 가짜뉴스의 역사는 인류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와도 같다 할 수 있다. 근대사인 1923년 관동대지진 때 일본 내무성은 조선인에 대해 악의적인 허위 정보를 퍼뜨려 잔인한 학살을 조장했다. 실제 1923년 9월10일자 매일신보에는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들이 폭동을 조장하고 있다’는 가짜 뉴스가 전면에 게재됐다. 21세기 뉴미디어 시대의 가짜뉴스는 어떤가? 이젠 ‘가짜뉴스’가 미디어 플랫폼에 정식 기사로 등장하고 있다. 조잡하고 허술한 찌라시 수준의 뉴스도 많지만, 대부분 정식 뉴스 옷을 입은 가짜 뉴스들이 진실로 둔갑해 유통· 확산되고 있다. 그 배후의 중심에는 글로벌 IT기업이 있다. 전통 미디어 신문·방송에서 소셜네트워크(SNS)등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으로 옮겨가고, 그곳이 가짜뉴스 온상지로 둔갑하는
PROFILE 현)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정책운영위원 현)선대인경영연구소장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공공정책학 석사 전)서울특별시 주거재생정책자문위원 동아일보 기자(1996~2002) 저서 및 역서 <일의 미래> <선대인의 빅픽처> 등 다수 난개발 막고 복지 . 삶의 질 높은 자족도시화 판교.광교처럼 용인만의 특화 신산업 키워야 재정개혁.행정시스템- 관료마인드 개혁 필수 용인시는 좋은 자원과 매우 큰 잠재력을 가진 도시이지만, ‘경제적 활력이 떨어지는 극심한 수준의 베드타운’이 돼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인구 1000명당 사업체수와 일자리수, 그리고 주택 가운데 아파트 비율을 살펴보면 이런 현실이 뚜렷이 드러난다. 우선, 인구 1000명당 사업체수는 전국 평균이 75.86개이고, 경기도는 66.3개인데, 용인시는 48.0개에 불과하다. 이웃 도시인 수원시가 57.2개, 성남시가 65.8개인데 비해서도 현저히 적다. 인구 1000명당 일자리 수도 전국 평균이 409.0개이고, 경기도가 372.6개인데 용인시는 308.8개에 불과하다. 이웃도시인 수원시가 338.7개, 성남시가 447.6개에 비해서도 크게 뒤진다. 그나마도 삼성전자 기흥반
심층리포트 _ 지방분권 우리의 지방자치 제2공화국 도입 박정희 5,16쿠데타…뼈아픈 단절 1995년 김영삼 정부 역사적 복원 지방자치제 실시 주민의 삶 개선 관공서권위주위탈피 문턱낮아져 “프랑스는 단일국가로서 분할될 수 없으며 정교가 분리된 사회-민주주의 공화국이다. 모든 사람(인민)은 인종과 종교와 출신에 차별 없이 법 앞에 평등하며 국가는 이를 보장한다. 프랑스는 모든 종교를 존중한다. 프랑스의 국가조직은 분권화되어 있다.”(프랑스 헌법 제1조). 2003년 3월28일 프랑스 의회(하원)는 1958년 제정된 제5공화국 헌법의 17차 개정안을 가결 하였다. 프랑스는 강력한 중앙집권제 국가였다. 2003년 이전에는 말이다. ‘샤를 드골’(Charles Andre Joseph Marie de Gaulle/1890~1970)이 1958년 10월 제5공화국을 수립하면서 프랑스는 더욱 강력한 중앙집권제 국가가 되었다. 프랑스의 지방자치제는 역사가 짧다. 프랑스의 지방자치제는 1982년부터 도입 되었다. 2003년 제5공화국 17차 개정헌법은 지방분권을 헌법1조에 명시하기 위해 개정된 것이다. 프랑스가 수없이 헌법을 개정해야 했던 근본적인 이유는 “너무나도 자유롭고
스승과 불과 9년 나이차로 가끔 스승을 깜 보는 듯 하는 사내는 자로(子路)뿐이다. 그런 자로를 향해 공자는 말한다. “너는 혹여 껄렁 껄렁하고, 유행을 타는 복장을 하고, 깃털도 꽂고 다니는 행색이 아무래도 나밖에 너를 야단칠 사람이 없구나.”라며, 자로의 몹쓸 버릇을 고쳐주곤 했다. 이럴 때마다 자로는 또 스승의 말을 듣곤 한다. 그럼에도 그의 행실은 절대로 나아지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주변사람.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될 안회가 되려 자로를 꾸짖음에 보를 치면 재가 울더라고 안회의 행실만 더 고쳐질 뿐이었다. 공자는 그런 안회를 일러 불천노(不遷怒) 불이과(不二過)라 했다. 논어 옹야(雍也)2 문장에 나오는 말인데 애공이 물었다. “제자 중에 누가 학문을 좋아합니까?”. 이에 공자가 답한다. “안회라는 자가 학문을 좋아하여 노여움을 남에게 옮기지 않으며, 잘못을 두 번 다시 저지르지 않았는데 불행히도 명이 짧아 죽었습니다. 그리하여 지금은 없으니 아직 공부를 좋아한다는 사람이 있다는 말을 듣지 못하였습니다.” 이 말 끝에 자로가 혼자말로 “요즘이 어느 시댄데 아직도 공부 타령이란 말인가” 이 말을 듣고 공자가 묻는다. “자네는 뭘 좋아하는데?” 이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