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칼럼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대사증후군
대사증후군이란 인슐린저항성, 내당능장애,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의 여러 질환이 동시에 발생, 진행하고 만성적인 경과를 거쳐 심혈관계 죽상경화증의 발생위험을 높이는 대사 장애를 말한다. 그리고 이런 여러 가지 대사 위험인자의 군집적 발생에는 인슐린 저항성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환자들은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고, 결국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많은 연구를 통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대사증후군은 제2형 당뇨병의 전구질환으로써도 의미를 가지는데, 일단 당뇨병으로 이환되면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증폭된다. 현재까지의 각종 역학조사 자료에 의하면 선진국 혹은 개발도상국가의 국민 중 약 1/4이 대사증후군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미국에 사는 60세 이상의 필리핀 여성을 같은 연령층의 서양여성과 비교한 연구결과 체질량지수(kg/m2)와 복부둘레의 평균은 같았음에도 불구하고, 제2형 당뇨병(36퍼센트 vs 9퍼센트)과 대사증후군(34퍼센트 vs 13퍼센트)의 유병율은 훨씬 더 높아서 아시아인들의 경우 서구화된 식이 및 생활습관에 노출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