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환경/사회

용인시 44년 후 ‘인구소멸’ 경고등

사망자 > 출생아… 경기도 인구 증가 타지역 유입에 의존
2067년 화성시 제외 도내 30개 시·군 ‘소멸 고위험군’ 예고

[용인신문] 경기도 인구가 1400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오는 2067년이면 화성시를 제외한 도내 30개 시군이 인구소멸 위험지역이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2002년 12월 인구 1000만 명을 돌파한 뒤 다음해 서울시 인구를 추월했고, 20년 동안 400만 명의 인구가 증가했지만, 44년 후에는 인구소멸을 걱정해야 하는 셈이다.

 

용인지역 인구 역시 지난 2016년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했고, 올해 1월 말 현재 109만 1900명을 기록했지만, 매년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인구소멸 위험지역이란 65살 고령인구가 20~30대 여성인구의 두 배가 넘는 곳으로, 초 고령화 및 출산율 저하 위험이 높은 지역을 지정한다.

 

저출산 대책 및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21일 경기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등록 내국인 인구와 법무부 등록외국인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4월 말 현재 도 내 주민등록인구는 1360만 7919명, 등록외국인은 39만 5608명으로 총 1400만 3527명을 기록했다. 경기남부에 1038만 4604명(74.2.%), 북부에 361만 8923명(25.8%)이 살고 있다.

 

이는 국내 총인구 5264만 5711명의 26.6%가 경기도에 사는 셈으로, 서울 인구(967만 명)의 1.4배가 넘는다.

 

경기도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은 시점은 2002년 12월 말로, 20년 4개월 동안 400만 명의 인구가 꾸준히 증가했다. 도는 2003년 12월 말 1036만 1638명의 인구를 기록하며 서울시 인구 1027만 6968명을 처음 추월했다.

 

서울에 있던 경기도청이 수원으로 이전한 1967년과 비교하면 1100만 명의 인구가 늘었다. 1967년 말 당시 경기도 인구는 307만 797명이었다.

 

시군별로는 수원시가 122만 6735명, 용인시 109만 2738명, 고양시 108만 9934명 순으로 가장 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은 연천군이 4만 2769명, 가평 6만 3005명, 과천 7만 9133명 순이다.

 

△ 지난해 사망자 수, 출생아 추월 ‘데드크로스’

도 내 인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오는 2067년이면 화성시를 제외한 도내 30개 시·군이 모두 인구소멸 위험지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이 지난 25일 발표한 ‘사라지는 지방, 지역 활력에서 답을 찾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 내 인구가 10년간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통계청이 올해 2월 발표한 ‘2022년 인구동향조사’ 결과 사상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아지는(사망자 7만 8990명, 출생아 7만 5277명) ‘데드크로스’ 현상이 발생했다.

 

실제 1400만 명을 돌파한 경기도 인구 증가는 출산 등 자연적 증가보다는 다른 지역의 인구 이동에 따른 사회적 증가가 가장 큰 원인이다.

 

도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2년까지 경기도의 자연적 증가 인구는 15만 8402명 이었지만, 사회적 증가 인구는 91만 7311명으로 75만 8909명 차이가 났다.

 

지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99만 명대의 인구 유입이 있었고, 서울 77만 명, 부산, 대구, 경북, 경남으로부터 각각 3만 명대의 전입이 발생했다. 반면 동일 기간 인구 유출은 7만 명대에 불과했다.

 

일자리가 많아지며 인구 유입이 증가했지만, 출산율 저하 등으로 노령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감사원이 국내 저출산 문제를 분석을 위해 발간한 ‘인구구조 변화 대응 실태 감사보고서’ 역시 오는 2067년 화성시를 제외한 도내 30개 시·군을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했다.

 

현재 도내 소멸위험 지역은 가평, 연천, 양평, 여주, 포천, 동두천 등 6곳이다.

 

△ 경기연구원 “시‧군별 정주의식 높여야”

용인지역 65세 이상 노령인구 역시 매년 전체인구 대비 1%이상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 인구통계에 따르면 인구 100만 명을 처음 돌파한 지난 2016년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10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0.7%를 차지했다. 이후 2017년 11만 6800명(11.4%), 2018년 12만 5000명(11.8%), 2019년 13만 3800명(12.4%), 2020년 14만 3000명(13.1%), 2021년 15만 200명(13.7%)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노령인구는 15만 7700명으로, 전체인구 109만 2200명의 14.4%를 차지했다.

 

경기연구원은 인구소멸 위기를 방어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청년 로컬크리에이터 양성 등 지역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정책 지원 ▲사람의 활동으로 활력을 되찾기 위한 ‘생활인구(교육, 관광, 업무 등을 위해 특정 지역을 방문해 체류하는 사람)’ 정책적 접근 ▲지역 균형 발전 유도 ▲‘행복담당관’ 설치 등 각종 행복 지원사업 개발 등을 제안했다.

 

김성하 연구위원은 “시·군별 역사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 고유 브랜드를 창출하고, 정주 의식을 높이면서 지역 발전을 추진할 수 있는 실질적 행·재정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며 “소멸위험 지역 여부에 따른 31개 시·군의 경쟁적 관계 등 부정적 요소를 해소하고, 상호 발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