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김종경 칼럼

전체기사 보기
김종경 칼럼

반딧불이 살아야 용인 환경이 산다

김종경 기자

용인신문 | 용인시는 오랫동안 ‘난개발’이라는 비판에 직면해왔다. 도시의 양적 팽창 과정에서 생태 환경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평가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반딧불이가 용인의 새로운 환경 아이콘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 변화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시민사회의 자발적인 노력이 있다. ‘용인반딧불이시민모임’은 운학천 일대에서 수로를 정비하고 가로등에 빛가림막을 설치하는 등 구체적인 활동을 통해 실제 애반딧불이 개체 수를 늘리는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냈던 것이다. 이들의 성공은 반딧불이 복원이 구호가 아닌, 시민의 의지와 실천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 셈이다. 용인반딧불이시민모임의 역할은 단순한 환경 보호 활동을 넘어선다. 이들은 정책이 미처 닿지 못하는 현장에서 문제점을 먼저 발견하고, 과학적 데이터와 시민 참여를 통해 해결 가능한 성공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향후 이들이 축적한 현장 데이터와 경험은 시의 공식적인 정책 수립 과정에서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행정과 시민을 잇는 가교이자 정책의 실효성을 감시하는 파트너로서의 역할이 더욱 기대된다. 반딧불이가 중요한 환경 정책 지표가 되는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