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흐림동두천 11.2℃
  • 흐림강릉 13.3℃
  • 흐림서울 12.3℃
  • 구름많음대전 9.0℃
  • 구름많음대구 7.3℃
  • 구름많음울산 8.2℃
  • 구름많음광주 9.2℃
  • 구름많음부산 11.7℃
  • 구름많음고창 10.2℃
  • 구름많음제주 13.7℃
  • 흐림강화 12.3℃
  • 흐림보은 5.0℃
  • 구름많음금산 6.4℃
  • 구름많음강진군 6.9℃
  • 흐림경주시 6.1℃
  • 구름조금거제 10.2℃
기상청 제공

김종경 칼럼

전체기사 보기
김종경 칼럼

‘반도체 메가시티’ 대역사… 향토 기업 ‘찬밥신세’

김종경 기자

용인신문 | 용인시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국가산단 유치를 통해 ‘반도체 메가시티’로의 도약을 선언한 지 오래다. 이 초대형 프로젝트는 용인의 미래를 보장하는 핵심 동력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화려한 청사진 뒤편에서는 정작 용인에 뿌리를 둔 토목, 건축, 감리, 설계 등 향토 기업들이 거대한 특수(特需)에서 소외되는 역설적인 상황이 감지된다. 인구 110만 특례시의 경제적 자생력 확보를 위한 행정의 적극적인 역할이 시급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현재 대규모 산단 조성 현장에서 지역 업체들의 참여는 단순 장비 임대업에 국한되는 실정이라고 한다. 대다수 지역 업체들의 지적처럼, 세금을 용인시에 납부하는 기업들이 핵심 용역 분야에서 배제되어 ‘경험치 제로’의 악순환에 갇히고 있다는 비판이다. 이는 지역 업체들의 인력 확충 기회는 물론 장기적인 경쟁력 상실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는 것. 궁극적으로는 ‘반도체 르네상스’의 수혜가 대기업과 외부 용역사들에게만 편중되는 결과를 낳고 있음을 의미한다. 타 지자체에서는 지역 기업에 대한 우대 정책을 펼쳐 동반 성장을 견인한 사례들이 있다하니 용인시 행정의 소극성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인허가 행정 시스템의 난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