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관람을 마친 조합원과 지역주민들이 흡족한 미소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용인신문 | 기흥농협(조합장 한규혁)은 지난 13일 문화·복지 향상을 위해 ‘찾아가는 영화관’을 운영해 조합원과 지역주민의 큰 호응을 얻었다. ‘찾아가는 영화관’은 농협중앙회와 한국영상자료원이 협력해 문화적으로 소외된 농촌지역 복지향상을 위해 펼치는 지역 사회공헌 사업이다. 이날 기흥농협은 쌀로 만든 간식을 제공하며 쌀 소비 촉진을 동참해 달라고 홍보하고 ‘농심천심(農心天心)’ 운동 실천 캠페인을 펼쳤다. 한규혁 조합장은 “찾아가는 영화관은 우리 지역의 문화 복지 시설 부족에 따른 복지향상 차원에서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문화복지사업을 발굴해 조합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용인신문 | 사이버스페이스는 정보 교류의 공간을 너머 인간의 사고와 감정이 데이터로 변환되어 흐르는 거대한 인지의 네트워크이며, 인간의 의식이 기술과 맞닿는 새로운 문화적 생태계다. 이곳에서 인간의 선택, 관심, 관계는 모두 기록되고 계산된다. 그 중심에 자리한 존재가 바로 알고리즘이다. 알고리즘은 데이터를 분석해 효율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계산의 도구로 시작했지만, 이제는 인간의 욕망을 설계하고 사고의 방향을 유도하는 보이지 않는 권력이 되었다. 검색 결과, SNS 피드, 쇼핑 추천, 심지어 정치적 뉴스까지. 우리는 알고리즘이 짜놓은 질서 속에서 정보를 소비한다. 겉으로는 자유롭게 선택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이미 선택의 조건이 조정된 상태다. 이 지점에서 ‘알고리즘적 사유(algorithmic thinking)’는 인간적 사고의 자율성을 위협한다. 정보의 편향된 배열은 세계를 해석하는 관점을 제한하고, 반복되는 피드의 구조는 ‘생각의 루프’를 만든다. 우리가 ‘관심 있다’고 느끼는 대상은 사실, 우리가 클릭할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학습한 결과일 뿐이다. 즉, 알고리즘은 우리가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옳다고 여길지를 점차 규정하고 있는 셈이다. 미디어 이
용인신문 | 용인신문 창간 33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용인신문은 창간 이래 묵묵히 언론의 소명을 실천하며 지역 발전과 밝은 사회를 만드는 데 앞장서 오셨습니다. 시민의 입과 귀와 눈이 되어 작은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 주신 데 깊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용인신문이 용인의 역사를 100년, 200년 써내려 가는 지역 언론 사랑방의 역할을 지속해 주시길 기대합니다.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용인신문 | 용인신문 창간 33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지난 33년간 용인시를 대표하는 언론으로서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지역 발전에 큰 힘이 되어주신 김종경 대표님과 임직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그동안 쌓아온 신뢰와 사명감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110만 용인 시민의 사랑 속에 명실상부한 대표 신문사로 자리매김할 것을 믿습니다. 용인신문의 무궁한 발전과 모든 임직원 여러분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합니다.
용인신문 | 용인신문 창간 33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지난 1992년 창간 이후 늘 정도를 걷는 언론으로서 용인의 중심 자리를 굳건히 지켜오셨습니다. 앞으로도 용인 시민의 대변인 역할을 충실히 하며 독자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지역사회의 화합과 희망을 전하는 중심축이 되어주시길 당부드립니다. 지역 발전을 위한 중요한 가치를 전달하는 용인신문의 더욱 큰 활약을 기흥농협은 기대합니다!
지난 9월 12일 발기인 모임후 단체사진을 촬영하며 화이팅으로 굳은 의지를 다졌다 발기인들의 회의 진행 모습이 간절하고 진지하다 주민들 ‘고등학교설립 추진위’ 발대식 서명운동 동참 2800명 달해 열기 후끈 도교육청·용인시·학부모 대표 한자리 교육 개선 정담회… 학습권 보장 공감 용인신문 | 처인구 모현읍의 고등학교 부재 문제가 지역 사회의 뜨거운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약 3만 5000명의 인구와 1만 5000 세대가 거주하는 모현읍에는 현재 일반계 고등학교가 단 한 곳도 없어 심각한 교육 인프라 불균형을 겪고 있다. ‘집 가까운 학교에서 교육받을 권리’를 침해하는 행정 사각지대라는 지적이다. 교육 불균형에 대한 주민들의 분노와 염원은 조직적인 행동으로 이어졌다. 지난 9월 12일 모현읍 이장협의회 주관으로 고등학교 설립 추진이 결정됐으며 14일에는 읍장, 이장협의회 선임 이장, 7개 주요 단체장 및 학부모 대표 등 33명이 참여하는 발기인 모임이 성사됐다. 이어 26일에는 87명이 참석한 가운데 모현읍 고등학교설립 추진위원회 발대식이 열렸다. 지난달 말 현재, 서명운동에 동참한 주민이 2800명에 달할 정도로 지역 사회의 염원은 뜨겁다. 불균형 문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