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우농(愚農)의 세설(細說)

콩고물에 맛들리면 언젠가는 체한다.

 

[용인신문] 안지추가 거친 청춘을 보낸데는 9세 때 부모를 여읜 탓<便丁>도 있으리라. 인성교육에는 가초檟楚가 절대적이다. 공부를 게을리하면 개오동나무<檟>로 만든 회초리를 들어 훈계하고 예의가 없으면 가시나무<楚>로 만든 회초리를 들어 가르친다는 말인데 문제는 부모 없이 자란 형이 동생의 인성교육까지 감당하기란 무리였다.

 

그럼에도 형은 동생을 위해 공자의 논어에 나오는 논어 학이편 1-4문장 증자의 말. “나는 매일 하루에 세 번씩이나 반성한다”는 ‘오일삼성오신吾日三省吾身’등의 문장을 귀동냥해서 동생들에게 들려주곤 했다.

 

이들 형제들이 살던 시대는 한가로이 경전구절이나 외워도 되는 넉넉한 세상이 아닌 격변의 시대였다. 양혜왕이 맹자에게 하필왈리何必曰利를 묻고 따지던 전국시대의 맹주로 군림하던 위魏나라 대량大梁의 시대가 아득한 세월로 지난 서위西魏, 북제北齊, 북주北周를 거쳐 수隋나라로 통일되면서 생을 마감하기까지 그야말로 다섯 나라를 거치면서 살아남은 자가 안지추다.

 

그가 험한 시대를 굶어죽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누군가를 도와주면 거기에는 반드시 콩고물이 떨어진다는 인정을 터득했던 것이다. 형은 이 부분에서 반대를 했다 전한다. 누군가를 도울 때는 대가를 받아서는 안된다는 게 형의 생각이지만 안지추는 인간은 이득을 따라 움직인다는 한비자외저설 좌상편 말에 무게를 두는 자이다. 물론 노년에 안씨가훈이라는 명훈을 빙자한 자신의 고백록을 쓰면서 야각효비夜覺曉非라는 말로 그때의 먹고 살기 위해 봉사를 빙자한 이득을 취한 일들의 그릇됨을 돌아본다.

 

늘 마음은 입과 적이 되며<매상심공구적每常心共口敵> 본성은 감정과 다투며<성여정경性與情競> 밤이 되면 아침의 그릇됨을 깨닫고<야각효비夜覺曉非>, 오늘이 되면 어제의 실수를 후회한다<금회작실今悔昨失.顏氏家訓卷一序致>. 누군가를 도와줄 때는 대가를 바라면 안된다는 말이다.

 

왕자연王子淵은 사자강덕론일수병서四子講德論一首幷序에서 말한다. 닭을 기르는 사람은 살쾡이를 기르지 않는다. 왜냐면 살쾡이가 언젠가는 닭을 잡아먹기 때문이란다. 이 말은 많은 해석을 낳는데 그중 하나가 누군가를 도와줄 때는 도움으로 인한 콩고물을 받지 말라는 말이다. 그 콩고물에 맛을 들이면 그것이 살쾡이가 되어 닭을 잡아먹듯이 주객이 전도되기 때문이다.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국회의원 당선인(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 전 정의연 이사장)에게 던진 화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