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BS(Location Based Services)는 일반적으로 위치기반 서비스라는 말로 풀이되는데 이동통신의 보급과 GPS등 위치검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통신분야의 주목받는 서비스로 떠오르고 있다 LBS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응용시스템 및 서비스라고 일반적으로 정의 된다
LBS는 단순히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뿐 아니라 이동통신 기기이용자의 현 위치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통해 그 시장성을 무한히 확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1999년 미국 통신위원회는 무선규칙(E-911)을 제정했는데, 이 규칙은 LBS를 주목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미국 통신위원회는 미국내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2001년 10월까지 이동전화 사용자가 응급호출(911)을 하였을 때 응급호출자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규정을 제정하였는데 이 때부터 각종 관련회사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LBS에 관심이 모아지기 시작했다
미국에서의 LBS는 주로 범죄방지 인명구조 등 시큐리티면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유럽에서는 유통관리시스템의 일환으로 업무용 애플리케션으로서 컨테이너 운송차량이나 대형트럭을 주요 대상으로 한 LBS M커머스 등 부가서비스에 중점을 둔 LBS구축이 진행되고 있으며 GPS기반의 서비스보다 기지국 중심의 셀 방식을 취하고 있다
LBS서비스는 GPS에 의한 카네비게이션으로만 생각 할 수 있지만 그 외에도 비상구조 지원, 교통 혼잡정보, 어린이나 치매 노인의 위치 추적, 외근직원의 경로/ 일정관리, 택배/화물의 위치정보 제공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이동통신사업자의 생각은 다르다 최근 PDA 보급과 휴대폰의 창이 커진 것을 이용하여 휴대전화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를 차세대 수익사업으로 적극 육성한다는 것이다 휴대전화 사용자가 식당 앞을 지나가면 그 식당의 음식을 광고하는 것 또 극장주변에 있는 휴대전화 소지자에게 영화의 주요내용을 동영상으로 제공하는 등 다양한 컨텐츠의 광고 마케팅이 이루어 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