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 2008년부터 후진국형 질병인 결핵 퇴치를 위한 연차별 계획을 수립해 진행 중이다. 매년 3만 명 이상이 발병하고 2000명 이상이 사망하기 때문이다.이에 따라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결핵 발병율 1위라는 오명을 받고 있으며, 관련법들을 강화하며 직접 집중 관리키로 한 것.
![]() |
||
기흥구 보건소와 기흥구 보육담당 부서 등은 “잠복결핵이라 문제가 없다”는 공식입장이지만, 시장과 부시장 등 상위부서 보고는 물론 담당부서에 조차 정확한 통보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의도적으로 은폐하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특히 법규 상 명시된 전염병 관리지침 등도 지키지도 않은 채 올해 신입생을 모집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무엇보다 결핵은 발병율을 낮추기 위해 국가 정책적으로 집중 관리하는 전염병임에도 구 보건소와 담당부서는 “몰랐다. 보건담당부서는 보건소다” 등의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어 공직사회의 안전 불감증에 대한 심각성도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자녀가 기흥구 보라동 ㄸ 어린이집에 다니는 A씨는 지난 10월 기흥구 보건소 등으로부터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접했다. 자녀가 결핵 보균자로 판명돼 9개월 동안 예방약을 복용해야 한다는 것.
내용인 즉, 어린이집 교사로 재직하던 B씨가 결핵에 걸린 사실이 판명됐고, 어린이집 전체 아이들을 대상으로 검진한 결과 A씨의 자녀가 잠복결핵 환자로 판명됐다는 것.
A씨는 “어떤 과정으로 아이가 결핵에 걸리게 된 것인지 원장에게 물어봐도 정확한 답을 하지 않았다”며 “하루 이틀도 아니고 9개월 동안 약을 먹어야 한다는데, 어떻게 관리했기에 다수의 아이들이 전염병에 걸리게 했는지 분통이 터진다”고 말했다.
시와 시 보건소에 따르면 ㄸ 어린이집 교사 B씨는 지난 10월 12일 질병관리 통합시스템에 결핵환자로 신고됐다. 이후 이를 알게 된 기흥구 보건소 측은 4일 뒤인 16일 B씨가 진료받은 병원에 연락처를 수소문해 B씨와 통화했지만, B씨는 근무처를 밝히지 않은 채 “원장에게 직접 보건소로 연락하라고 하겠다”고 말했다.
ㄸ 어린이집 원장은 보건소에 연락하지 않았고, 보건소 측이 기흥구청 담당부서에 문의해 어린이집을 알아 낸 후 원장에게 연락이 닿았다.
ㄸ 어린이집 원장은 신입생 모집 기간 등을 들며 아이들에 대한 검진에 난색을 표명했고, 설득 끝에 이를 수용했다.
결국 어린이집 교사 23명과 어린이 245명은 B씨의 결핵발병 사실이 밝혀진 후 11일이 지난 10월 23일이 돼서야 1차 검진을 받을 수 있었다. 1차 검진결과 교사 2명과 5세와 6세 어린이 9명이 잠복결핵 진단을 받았다. 이후 12월 17일 어린이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2차 검진에서는 추가로 5~6세 어린이 13명이 잠복결핵으로 진단됐다.
구 보건소 관계자는 “잠복결핵의 경우 전염성이 없고 발병할 확률이 매우 낮다”며 “9개월 간 예방차원의 치료약을 먹으면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소아과 전문의들의 소견은 다르다. 수지구의 A소아과 전문의는 “면역체계가 완성되지 않은 어린이들의 경우 동절기 감기 등의 발병이 결핵발병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며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식 시의원은 “이유를 막론하고 아이들의 건강과 관련된 문제에는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어린이집에서 식중독만 걸려도 온 나라가 시끄러워지는데 결핵균에 집단 감염된 사실이 문제가 없다는 식의 반응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사고방식”이라고 지적햇다.
한편, 문제의 어린이집 C원장은 문자와 휴대전화 및 어린이집 전화로 30여 차례에 거쳐 취재를 시도했지만 받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