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공직자 1인당 주민수가 436명으로 경기도 내 31개 시·군 중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인구 밀집도 등을 감안하면 사실상 전국 2위인 셈이다. 행정서비스 및 주민 친절도 행상 등을 위해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용인시의 경우 경전철 지방채 발행에 따른 채무관리계획 등에 따라 신규채용 등에 제한을 받고 있어 당분간 주민 수 대비 공직자 부족현상은 이어질 수 밖에 없을 전망이다.
결국 해법은 효율적인 조직운영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지난 3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6일 현재 도내 인구는 1236만 5469명이며, 31개 시·군 공무원은 3만5683명으로 파악됐다. 공무원 1인당 평균 주민 수가 347명에 이르는 셈이다.
![]() |
||
군포(396명)와 남양주(395명), 성남(392명), 오산(380명), 광명(379명), 안양(368명), 화성(349명) 등도 공무원 1인당 주민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반면, 연천은 77명으로 수원보다 5.7배나 적었고 가평(108명), 양평(135명), 과천(150명), 여주(154명), 동두천(181명), 포천(186명) 등은 공무원 1인당 주민 수가 200명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 정원은 2007년 도입된 총액인건비제에 의해 결정된다. 이 제도는 각 지자체 인건비 예산의 총액을 행정안전부가 관리하고, 각 지자체가 그 한도 내에서 자율적으로 인력의 규모 등을 결정하는 것.
시에 따르면 현재 시 공직자 수는 총 2122명이며 인구수는 91만 5000여명 규모다. 그러나 육아휴직과 병가 등의 이유로 휴직중인 공직자 수만 220여명을 넘어선다. 전체 공직자의 10%가 넘는 수준이다.
올해 신규 채용가능 한 공직자 수는 당초 150여 명 수준이지만, 행안부는 채무관리계획에 따라 용인시 신규채용을 50%수준인 78명으로 제한했다.
시 관계자는 “부천시의 경우 인구는 용인보다 낮고, 공직자 수는 많은 상황”이라며 “효율적인 조직운영과 인력배치로 대민 서비스 질을 높이려 노력하고 있지만, 현실적 제한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실제 인근 시·군 공직자 수를 살펴보면 수원시는 2584명, 성남 2495명, 고양 2354명, 부천 2152명 수준이다. 인구수는 수원 112만 여명, 성남 97만 8000여명, 고양 96만 9000여명, 부천 86만 9000여명 규모다. 도시면적은 용인시가 이들 대도시에 비해 2배에서 4배 이상 넓다. 도시면적과 인구수 및 인구증가율 대비 공직자 수를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도 관계자는 “시·군별로 공무원이 담당하는 주민 수의 편차가 있지만 일부 지역은 면적이 넓고 고령인구가 많아 복지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규모가 유지돼야 한다”며 “행안부가 인건비 기준액과 직급별 정원비율 등을 여전히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어 신규 채용 외의 방법으로 효율을 높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