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오는 4월 개통을 앞두고 있는 용인경전철 재구조화를 위한 신규 투자유치가 성공했다. 지난해 경전절 국제중재 2차 판정결과에 따라 민간시행사에 지급해야 하는 기회비용 약 2800억 여원을 외부 투자유치로 조달 한 것.
시는 이번에 유치한 재원으로 민간시행사 대주단에 지급해야 할 비용을 청산한 뒤, 사실상 경영권 참여까지 가능할 수 있게 돼 경전철 문제 해결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다.
시는 지난해 12월 31일 사업 재구조화를 위한 신규투자자 모집 제안서 접수 결과, 가장 유리한 투자조건을 제시한 칸서스자산운용(주)(이하 칸서스(주))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 |
||
시와 칸서스(주)는 이날 김학규 용인시장과 유인준 칸서스(주) AI부문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용인경전철 민간투자사업 투자자 유치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향후 구체적인 투자조건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번 MOU를 통해 칸서스(주)는 투자기구를 통해 1100억 원 범위 내로 용인경전철에 직접투자하고, 시는 관리운영권 승계 또는 출자자 변경을 위한 행정적 절차 등의 협조에 나서게 된다. 즉, 경전철 사업을 둘러싼 지분구조를 변경하는 것.
시 관계자에 따르면 경전철 재구조화를 위해 필요한 비용 3000억 여원 중 나머지는 칸서스(주) 측의 채권발행을 통해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칸서스(주)는 펀드조성을 통해 마련한 1100억 원을 투자하되 기존 6%대의 이자 부담을 5% 미만으로 줄여주겠다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1% 이상의 이자가 줄게 됨에 따라 연간 수 십 억원의 이자 부담을 덜 것으로 예측했다.
시는 경전철 개통 예정인 내년 4월까지 칸서스와 세부 협상을 끝낸 뒤 변경실시협약도 마칠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4월 용인경전철(주)와 정상화에 합의하고 두달 뒤인 6월 사업재구조화 및 자금재조달 협약을 체결했다. 결국 이 협약에 따라 신규투자자를 모집했고, 신규 투자자를 통해 간접적인 경영권 참여도 가능해 졌다.
김학규 용인시장은 “칸서스 측이 사업시행법인에 대한 경영참여에 대해서도 긍정적”이라며 “투자자 유치로 시 재정부담을 덜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용인경전철 운행과 관련 개통예정일인 오는 4월까지 수도권통합환승할인이 적용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시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용인경전철 수도권통합환승할인은 2014년 1월부터 적용될 예정”이라며 “수도권통합환승할인 적용에 필요한 운영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상당한 시일이 소요돼 개통 시점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