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안성시 주민들이 지난해 12월 28일 개장한 용인시 시립장례문화센터 ‘용인 평온의 숲’ 입구에 걸어 놓은 피해보상 요구 현수막 모습. 10년 전 안성시 양성면에서 안성시립 쓰레기 위생매립장 건설당시 연출됐던 모습들이 장소와 대상이 바뀐채 재현되고 있다. |
더구나 지난 안성시는 지난 2002년 이동면 어비리 경계지역인 양성면 장서리에 시립 쓰레기 매립장을 건립하며 똑같은 이유로 용인지역 주민들에 대한 피해보상을 거부한 바 있어, 양 지자체간은 물론 주민들 간의 갈등이 확산될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28일 처인구 이동면 ‘용인 평온의 숲’개장식 현장. 이날 ‘평온의 숲’ 개장을 자축하기 위해 참석한 지역인사들은 입구에서 안성시 주민들의 반대집회를 목격했다.
이들 안성주민들은 “용인시가 경계지역에 혐오시설을 건립하며, 피해를 입는 안성지역 주민들에게만 보상을 해주지 않았다”며 보상을 요구하는 집회를 이어갔다.
시는 지난 2008년 평온의 숲 건립을 추진하며, 이동면 어비리와 묘봉리에 주민지원기금 및 수 백억원 대의 보상을 약속했다. 이와 함께 장례문화센터 개장 후 수익시설 참여 등도 확약했다.
당시 안성시 측은 용인시에 “장례문화센터 입지 지역이 상수원 보호구역인 만큼, 입지를 바꿔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양성면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면서다. 그러나 시 측은 이를 거부했다.
이 같은 상황은 10여 년 전인 지난 2001년에도 양 지자체간 정 반대의 입장으로 진행된 바 있다.
지난 2002년 안성시는 이동면 어비3리와 인접지역인 양성면 장서리에 ‘시립 쓰레기 위생 매립장’을 건립했다. 당시 용인시 집행부는 안성시에 “쓰레기 매립장 건립으로 용인시민들이 침출수 등에 대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이동면 주민들도 안성시 공사 현장 등에서 집회를 열며 피해보상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안성시는 양성면 장서리 등 쓰레기 매립장 건립 인근지역에 당시로선 파격적인 50억 여원 규모의 주민보상을 집행했다.
시 측은 지난 2008년 ‘평온의 숲’ 건립을 반대하는 안성시 측 요구에 “안성시도 쓰레기 매립장을 건설하며 용인지역 주민들에게 피해보상을 하지 않았다”며 강한 거부의사를 밝혔다.
이동면 주민들은 “안성시와 주민들이 말도 안 되는 떼를 쓰고 있다”는 입장이다. 주민 조 아무개(46·어비리)씨는 “안성시는 용인시 경계에 쓰레기 매립장을 건립해도, 용인은 안성시 경계에 장례센터를 지으면 안 된다는 것이냐”며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시의회 신현수 부의장은 “최근 10여년 간 쓰레기장과 장례문화센터 건립 문제로 용인시와 안성시 경계지역 주민들 간의 갈등이 이어졌다”며 “특히 최근 ‘평온의 숲’이 개장하며 심화되는 조짐이 보이고 있어 민민갈등이 확산 추세에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