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는 지난 8월부터 한 달 동안 이미 준공이 완료된 광교신도시 1단계 사업 용인지역 사업부지에 대한 합동점검을 진행했다.
그 결과 배수지와 각종 변실, 상·하수도, 정보통신, 공원, 녹지, 공공공지, 도로·인도에서 부실시공 또는 파손된 사례가 곳곳에서 발견됐다.
또 소화전의 경우 보호틀과 키홀이 설치되지 않거나 키홀과 소화전이 매몰된 사례가 다수 발견됐으며, 상수관로는 13개 지점에서 퇴적물 및 이물질 유립사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근린공원 12·13호와 어린이공원 9·10·11호에서는 고사목이 곳곳에서 발견됐고, 산책로와 절개사면의 토사 유실 및 붕괴 우려가 제기돼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도로와 인도, 자전거도로는 전 구간에서 볼라드 및 보도블록이 불량시공 돼 전면 재시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자전거도로의 경우 지반이 침하된 것으로 드러났다.
광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은 표면적으로 경기도와 수원시, 용인시, 경기도시공사가 함께 시행했지만, 사실상 경기도시공사 측이 사업을 주도해 왔다.
광교지구 개발사업 면적 1130만 4823㎡ 중 용인지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135만 2879㎡로 약 12%수준이다. 이 지역에 들어서는 주택 및 계획인구는 3674세대에 9180여명이다.
시 측은 경기도시공사 측이 문제점이 드러난 시설물을 보완하기 전에는 시설물 인수인계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흥덕지구와 동백지구 등 과거 한국토지공사 시행으로 용인지역에서 진행된 대단위 택지개발지구와 비슷한 주민불편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실제 흥덕지구와 동백지구의 경우 당시 해당지역 입주민들은 토공 측과 용인시 간의 시설물 인수인계 과정이 길어지며 쓰레기 처리 및 도로청소 등에 따른 불편을 겪은 바 있다.
결국 시가 주민 불편 등을 이유로 시설물을 인수인계 받았지만, 곳곳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 인해 여전히 주민들의 생활불편 관련 민원이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도시기반시설이 부실시공됐거나 아예 설치가 되지 않은 사례가 많아 시정을 요구한 상태”라며 “기반시설은 시민 생활환경과 직결되기 때문에 보완사항을 꼼꼼히 따져보고 인수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이번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시공사 측에 자전거 도로관련 9개 항목을 보완 또는 재시공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하수시설물 관련 문제점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따른 비용 부담은 경기도시공사와 협의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