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정부 눈치 보기 때문에 ‘지연’

  • 등록 2012.11.02 17:01:14
크게보기

김문수 지사 “경기도 무시한 처사” 강하게 비판

   
▲ 김문수 지사와 김학규 용인시장이 공사현장을 둘러본 뒤 찾아가는 실국장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사업이 정부의 눈치 보기로 늦어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 수서~동탄 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노선도
김 지사는 지난달 30일 용인에 위치한 KTX 수서~평택 구간 공사 현장에서 ‘찾아가는 실·국장 회의’를 열고 “GTX 사업이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정부의 정치적 눈치보기로 인해 늦어지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날 김 지사는 GTX에 대한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며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 GTX만큼 경제적 타당성이 높은 철도사업이 없다”며 “꼭 해야 할 것은 안 하고 대통령 임기 말에 정치적 눈치 보기로 사업을 미루는 것은 경기도를 무시한 처사로 매우 유감”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의 이 같은 비판은 당초 올해 6월로 예정돼 있던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계속 미뤄지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예비타당성 조사가 지연되는 이유는 낮은 비용편익분석(B/C) 때문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실상은 내년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규모 예산이 들어가는 국책사업의 결정을 미루고 있다는 것이 경기도와 김 지사의 시각이다.

더욱이 GTX 사업의 경우 김 지사의 공약사업으로 당초 국비 지원사업으로 진행됐지만, 김 지사의 대선 출마설이 돌던 지난해 정부가 국책사업으로 전환을 권고한 바 있다.

김 지사는 이날 “수도권에 사업성이 낮아서 사업을 못하겠다고 하면 철도사업을 할 곳이 전국 어디에 있느냐”라며 “GTX는 단순히 교통문제가 아니라 수도권 전체의 문화, 생활 등 모든 것을 바꿀 대역사”라고 말했다.

GTX는 40m 지하에 건설하는 신개념 광역급행철도로, 경기도는 당초 2013년 착공해 2018년까지 고양~수서(46.2㎞), 송도~청량리(48.7㎞), 의정부~금정(45.8㎞) 등 3개 노선의 신설을 정부에 제안했다.

지난 4월 확정 고시된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1~2020년)’의 전반기(2015년 이전 착공) 신규사업으로 채택됐으나 현재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가 늦어지고 있다.

용인지역의 경우 수지구 동천동에서 기흥구 공세동 구간을 통과해 동탄지역으로 이어지며, 기흥구 지역에 1곳의 역사가 들어설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GTX 역사가 기흥지역에 들어설 경우 경전철 수요 증가와 함께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역사 위치 선정 등도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미뤄지며 확정이 늦춰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용삼 경기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OECD 측정지표에 의하면 23개국 평균 통근시간이 38분인데 우리는 50분 이상을 소비해 22위로 거의 꼴찌 수준”이라며 “수도권 근로자의 49.6%가 서울에 근무하는 상황에서 통근 교통 수요와 통근 시간을 줄이는 것은 새로운 빠른 교통수단으로 해소할 수밖에 없다”며 GTX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강우 기자 기자 hso0910@hanmail.net
Copyright @2009 용인신문사 Corp.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용인신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지삼로 590번길(CMC빌딩 307호)
사업자등록번호 : 135-81-21348 | 등록일자 : 1992년 12월 3일
발행인/편집인 : 김종경 | 대표전화 : 031-336-3133 | 팩스 : 031-336-3132
등록번호:경기,아51360 | 등록연월일:2016년 2월 12일 | 제호:용인신문
청소년보호책임자:박기현 | ISSN : 2636-0152
Copyright ⓒ 2009 용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onginnews@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