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 양에 비례해 각 가정마다 다른 수수료를 지불하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내년 1월부터 시행된다.
용인시는 지난달 30일 지역 내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를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달 31일 시청에서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제 시행을 위한 주민설명회를 갖고 종량제 도입 필요성과 도입 방안, 운용 계획, 기기 사용방법 등을 설명하고 주민 협조 사항을 전달했다.
시에 따르면 올해 안에 1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 1단계 사업으로 공동주택 단지 3만 2000세대에 종량제 기기 560대를 보급하고 15만 세대에는 차량계근장비 11대를 투입, 내년 1월부터 세대별 종량제 및 단지별 총량제를 시행할 계획이다.
이어 내년 말까지 2단계 사업으로 단지별 총량제 시행 15만 세대에도 종량제 기기 2640대를 추가로 보급, 종량제 기반시설 구축을 완료해 세대별 종량제로 전면 전환할 계획이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배출자 부담 원칙을 명확히 하고, 세대별 배출량에 따라 수수료를 차등 부과하는 제도다. 기존 수거용기 대신 규격과 디자인 등이 통일된 신규 RFID(무선주파수 인식기술) 개별계량기기를 설치, 배출자별 수수료 차등 부담을 통해 환경 개선과 음식물쓰레기 감소를 유도하려는 취지다.
환경부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로 연간 발생되는 탄소량은 약 885만 톤으로, 이는 국내 전체 자동차의 18%가 내뿜는 탄소량과 같은 수준이다.
시는 지난 1월부터 이 같은 정부 정책에 따라 기흥구 상하동 아파트 단지 등을 대상으로 RFID 개별계량기기 16대를 설치, 세대별 배출카드 배포 등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시범사업결과 음식물쓰레기가 약 23% 감량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시행되면 연간 약 20% 가량의 쓰레기 감량과 이에 따른 처리비용 9억 여원이 절감될 것으로 보고있다”며 “시행 초반 주민들의 불편과 혼란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홍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