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화된 부동산경기 침체 등으로 용인지역 곳곳에 추진되던 각종 개발사업이 사실상 멈춰선 것으로 나타났다.
멈춰선 개발사업은 대규모 주택 개발사업이 대부분 완료된 수지·기흥 등 서부권과 달리 처인구 지역에 집중돼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계획된 개발사업 중 가장 빠른 흐름을 타고 있던 용인 5구역과 8구역 재개발 사업진행이 사실상 보류됨에 따라 다른 사업에 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 |
||
▲ 재개발 7구역 |
![]() |
||||||||
▲ 재개발 7구역 1
|
시와 개발사업 주체측이 직접 사태수습에 나서고 있지만 침체된 부동산 경기가 더욱 장기화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가 부동산 및 내수경기 활성화 대책을 내 놓았지만, 현재 미분양 아파트 등으로 한정 돼 있어 처인구 지역에 예정된 각종 개발사업과는 거리가 먼 상황이다.
시에 따르면 현재 처인구 지역에 계획된 주택개발사업은 구도심 재개발사업과 도시개발사업, 지구단위 개발사업 등 포함해 약 30여 곳. 그러나 이들 사업 대부분이 현재 표류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난해 사업시행인가를 받아 가장 빠른 진행을 보이던 5구역과 8구역 재개발 사업의 경우 시공사로 선정된 GS건설 측이 최근 ‘주택경기 회복때까지 사업 보류’를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시와 재개발 조합 측이 이 문제를 놓고 GS건설 측과 협의중이지만, 전반적인 주택경기 하락으로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GS건설 측은 전국에 진행 중인 100여 곳의 개발사업 중 자체 심의를 거쳐 등급을 분류 한 것으로 알려졌다. 분양기대치가 분류의 기준이다. GS경제연구소 측이 앞으로 2~3년간 주택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을 전망했고, GS건설은 수도권 남부지역의 개발사업에 대해 각각 B와 C등급을 부과했다는 전언이다.
고림지구 역시 지난 2010년 사업시행인가를 받고 일부 아파트 분양을 시도했지만 시행사의 자금난과 저조한 분양률로 중단된 상태다.
시 산하 공기업인 용인도시공사가 진행 중인 역북지구 사업도 비슷한 상황이다. 주택경기 침체로 인해 토지분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
공사 측이 궁여지책으로 용적율 상향과 아파트 평형 및 세대수 조정을 내걸었지만,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다. 수도권정비계획 심의위원회 통과여부에 따라 그나마 조건부로 계약한 토지의 완전매각도 바라볼 수 있다.
문제는 지역경제다. 개발사업 중단 도미노현상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8구역 재개발조합 관계자는 “5구역과 8구역의 진행여부가 처인구 전반의 각종 개발사업 진행에 바로미터가 돼 왔다”며 “그러나 이마저 최종 중단된다면 처인구는 물론 시 전체의 지역경제가 꽁꽁 얼어붙게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시 주택과 관계자는 “시 차원에서도 각 건설사 측과 긴밀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민관이 힘을 합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