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공직사회 내에서 가장 개선이 시급한 사안이 인사제도와 인센티브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수직렬의 경우 현 인사제도 등에 대한 불만이 높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소수 직렬의 인사적체 부분은 시의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부산물로, 과도기적 현상이라는 여론도 공존하고 있어 대안이 절실하다는 여론이다.
지난 8일 시에 따르면 지난 3월19일부터 23일까지 시 전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2012년 조직문화 진단 설문조사’결과 인사 및 인센티브제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2090여명 중 870명이 응답한 이번 설문조사는 조직신뢰(17문항)와 조직 내 의사소통(10문항), 변화관리(7문항), 조직운영(10문항) 4개 분야 44개 문항에 걸쳐 진행됐다.
조사결과 1순위는 승진·전보 등 인사제도가 가장 높았고 이어 △성과상여금·가점 등 인센티브 제도, △구성원간 소통, △상·하간 의사전달 방식, △조직체계 순이었다.
특히 하급직·20~30대를 중심으로 익명성과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보장되지 않는다며, 이 부분에 대한 문제점 지적이 많았다. 또 거시적인 대외환경 변화에 대한 시의 전략적 대응력에 대해 상당수 직원들이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직사회에 따르면 시 인사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인사적체’ 현상이다. 특히 농업직과 지적·임업직, 보건·위생직 등 소수직렬의 인사적체 현상이 심각하다는 여론이다.
소수직렬 공직자 A씨는 “다른 직렬에 비해 상대적으로 승진여건이 없는 탓에 업무 의욕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라며 “특히 다수 직렬의 후배들이 더 먼저 승진하는 것을 볼 때 참담한 심정까지 들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공직자 B씨는 “시 전체 공직자 현황을 볼 때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도 알고있다”며 “하지만 30년 이상 공직에 있어도 사무관도 못 달고 명퇴해야하는 실정을 보면 한숨만 나온다”고 말했다.
시 집행부는 이 같은 소수직렬 인사적체의 가장 큰 원인은 시의 급격한 도시화라는 설명이다. 용인시가 각종 대단위 도시개발 사업 등으로 최근 20여년 동안 이룬 도시화의 성장통이라는 것.
실제 농업직의 경우 과거 전체 정원의 상당수를 차지했지만 현재는 소수직렬에 머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 농업직 구성비는 더욱 축소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임업직과 보건직 등 다른 소수직렬도 비슷한 상태다.
시 관계자는 “소수직 인사 적체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지만, 변화된 현재 환경과 제도의 벽까지 넘어서기는 힘들다”며 “최대한 소수직렬 공직자들을 배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장과의 간담회, 조직문화 변화담당제, 익명 소통게시판 신설, 인사·성과평가체계 정립 등 ‘조직문화 활성화 개선대책’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