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을 비롯해 전국의 택시업계가 LPG 가격 인하 등을 요구하며 지난20일 자정부터 24시간 총파업에 돌입, 전국 곳곳에서 출·퇴근길 시민 불편이 이어졌다.
특히 1503대의 택시가 파업에 동참한 용인지역의 경우 예고된 파업이었음에도 불구, 대체운송수단 투입 등 시 차원의 대책이 없어 주민들의 불편이 더욱 컸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일 오후 용인공용버스터미널 앞. 평소 30~40여대의 택시들로 가득해야 할 버스 터미널 택시 승강장은 단 한 대의 택시도 보이지 않았다.
몇몇 시민들은 택시파업을 미처 알아차리지 못한 듯 택시승강장 주변을 기웃거렸지만, 택시업계 파업으로 운행을 중단한다는 현수막을 보고나서야 버스정류장 쪽으로 다시 발걸음을 돌렸다.
신갈오거리 인근 버스승강장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됐다. 평소 20여대 가량의 택시가 대기하던 곳엔 파업을 알리는 현수막과 어찌할 바를 모르는 주민들의 모습만 종종 나타났다.
대학생 K씨(22·여)는 “친구를 만나기 위해 용인에 처음 왔는데 버스노선도 모르고 어찌해야할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수지지역의 경우 출근시간대 평소보다 많은 시민들이 버스승강장에 몰려 혼잡을 빚었다. 일부 시민들은 늘어선 버스 대기시민들을 보고 발길을 돌려 승용차로 출근하기도 했다.
인근 성남으로 출퇴근 한다는 직장인 박 아무개(40·남)씨는 “서울과 성남의 경우 출퇴근 시간대 버스를 증차한다고 해 용인도 비슷할 줄 알았는데 변동이 없는 것 같다” 불만을 토로했다.
시 측은 이날 각 택시 승강장에 택시 파업에 대한 현수막설치와 교통대책 비상상황실 등을 운영했지만, 버스증차 및 행정차량 동원 등의 실제적인 조치는 없었다.
시 관계자는 “각 마을버스 및 광역버스 운송회사에 증차 등을 요청했지만, 개별회사의 사정 등으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수막 설치 등으로 시민들에게 택시 파업을 알린 것이 그나마 가장 효율적인 대책인 셈이다.
공직 내부에서도 시 측의 이 같은 무책임한 대응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가 제기됐다. 한 공직자는 “버스회사 탓으로 돌릴 것이 아니라 행정차량 또는 각 대학교 차량 등을 활용할 생각을 왜 안했는지 모르겠다”며 “하루만 잘 넘어가면 된다는 식의 발상을 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