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난 극복을 위한 예산반납 등 민간차원의 고통분담이 이어지는 가운데 용인시가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2억 여원의 예산을 들인 무리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해 논란이다.
특히 이번 교육은 내부의 반대 의견에도 불구, 김정한 부시장이 공직사회 소통강화 및 사기진작 등을 이유로 ‘지역 외 1박2일 교육’을 강력히 지시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외부시선을 의식해 교육장소인 리조트 전체를 예약한 것으로 확인돼 파장이 예상된다.
시는 지난 13일부터 총 4회에 거쳐 각각 1박 2일의 일정으로 양평군에 위치한 S리조트에서 ‘2012 공직 리더십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 중이다 . 이번 교육은 전체 공직자 2000명 중 40%인 800명을 대상으로 각 회차당 200명씩 참석한다.
시 측은 “재정이 어렵더라도 교육은 이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관외 교육을 진행한 것”이라며 “교육 참석대상자도 자발적으로 선발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취재결과 일부 부서의 경우 교육정원 40%에 맞춘 강제동원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뿐만 아니라 부시장의 지시로 교육장소 및 일정도 ‘지역 내 당일교육’에서 변경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경전철 지방채 발행 조건에 따라 진행 중인 급여인상분 반납과 숙직 및 초과근무수당 삭감, 복지포인트 삭감 등으로 떨어진 공직 사기진작도 이번 교육의 하나의 이유”라고 해명했다. 즉, 침체된 공직분위기 향상을 위해 진행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 고위 공직자는 “전장에 병사들을 위한 위문공연을 왜 가느냐, 비슷한 맥락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선 공직자들의 반응은 정 반대다. 예산낭비라는 지적이 다수다. 한 공직자는 “집행부 관점과 다를 수 있겠지만, 정말 일선 공직자를 생각한다면 방법이 틀렸다”며 “교육예산 2억 원을 경전철 상환재원으로 전환하고 초과수당이나 숙직수당을 조금 더 주는 것이 현실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시 집행부는 경전철 지방채 조건 이행을 위해 숙직수당을 현 5만원에서 3만으로 초과근무수당 제한을 현 67시간에서 50시간으로 단축했다. 이 경우 1년간 숙직수당 3억 원, 초과근무수당 18억 원이 절감된다.
각종 행사 예산 등을 반납한 민간단체들의 시선도 곱지 않다. 체육행사 예산을 반납한 단체 관계자는 “지난 1년 동안 준비했던 행사를 포기하고 1000만원의 예산을 반납했다”며 “시 집행부가 어떤 말로도 해명되지 않은 행동을 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