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와 도시공사에 따르면 지난 9일 마감된 공동주택부지 재공급 공고 신청결과 한 곳의 시행사도 나서지 않았다. 도시공사에 따르면 재공급 공고결과 매입 대상자가 나타나지 않은 공동주택부지는 5개 필지 17만887㎡규모다.
이에 따라 공사 측은 지난 10일 2차 재공급 공고를 냈지만, 토지매입 대상자가 나타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건설사와 아파트 등 공동주택 시행사들이 침체된 부동산 경기가 좀 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금융권의 부동산 개발사업에 대한 대출규제도 역북지구 공동주택 토지매각 지연의 큰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도시공사 측은 2차 재공급 공고에서 매입업체가 나오지 않더라도 수의계약으로 전환된 후에는 매각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올해 초 역북지구를 포함한 용인지역 건축물의 용적율을 상향조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조례가 통과됐고, 오는 7월~8월 중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한 국토부(수도권 정비계획) 심의가 통과될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이다. 도시공사에 따르면 역북지구의 경우 용적율 10%상향시 3.3㎡당 평균 46만원의 토지 분양가 인하효과가 나타난다. 현재 도시공사 측은 평균 20% 이상의 용적율 상향을 골자로 한 역북지구 계획 변경안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다.
즉, 수의계약 단계로 넘어가게 되면 대형건설사들의 우선 매입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실제 몇몇 대형건설사들이 용적율 상향 및 정부 심의통과 여부 등을 전제로 사업성 검토 등을 진행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뿐만 아니라 도시공사 측과 일부 내용에 대한 협의도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역북지구의 경우 한 블록만이라도 계약이 성사되면 다른 지역에 대한 매매는 순탄할 것으로 보고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