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가 지난해 10월 환경부에 요청한 팔당수계 수질오염총량 변경계획이 승인됐다. 이에 따라 처인구 지역 개발은 물론, 하수처리문제를 두고 협의에 난항을 겪었던 역삼·역북지구 개발사업도 순항할 전망이다.
시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13일 당초 6곳에 분산 설치할 계획이던 하수처리장을 용인과 모현 하수처리장 2곳으로 통합하고, 청미천, 복하천 수계의 개발 물량을 추가로 확보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시 측 오·총 변경계획을 승인했다.
시는 지난 14일 해당 수계별 개발물량의 활용계획을 담은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 시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고했다.
오·총 변경계획안에 따르면 당초 용인·역삼·유림·금어·초부 등 5개 처리장에 분산하려던 하수처리를 용인하수처리장의 증설을 통해 일원화했다.
시에 따르면 변경계획 승인에 따라 당초 하루 793.2㎏/일 이었던 개발물량이 1111.8㎏/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시는 경안천 수계의 경우 팔당수계특별대책지역 1권역인 모현면의 하수처리구역 내 개발사업은 순차적으로 부하량을 할당해 개발사업을 허용하고, 2권역인 포곡·양지·및 중앙·동부·역삼·유림동 지역은 하수처리구역 여부와 상관없이 부하량을 할당할 계획이다.
또 개발부하량 관리를 위해 제한했던 2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도 300세대 이하 규모를 대상으로 입지를 허용할 계획으로 알려져 처인구 지역 주택개발 또한 활성화 될 전망이다.
특히 복하천과 청미천 수계의 경우 당초 경안 A유역 내의 유역관을 조정, 개발 물량을 추가 확보해 양지·백암·원삼 지역의 추가적인 개발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그동안 개발물량 부족 등으로 사전환경성 검토 대상 등 각종 제한을 받아왔던 백암, 원삼지역 내 공장 신증설, 물류 시설 확충 등 기업입지 및 유치활동도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하수처리 발식 및 시설위치 등을 두고 협상에 난항을 겪었던 역삼 및 역북지구 개발사업의 경우 하수처리구역이 ‘용인 하수처리장’으로 통합되며 사업추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시는 이에 앞서 지난 1월 총량관리계획 기간 연장과 함께 모현 동림, 능원, 오산리 지역의 오랜 숙원사항이던 하루 1000㎥ 규모의 하수처리장 신설 계획을 우선 승인 받은 바 있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하수처리시설 통합계획과 동림하수처리장 신설계획을 담은 하수도정비(변경)계획에 대한 승인 기관 협의 등 후속 조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