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경전철 정상 운행을 위한 용인시와 민간시행사 간의 재협상이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최소수익보장율(MRG)과 운임, 정상화 추진 시기 등을 두고 다소 이견을 거듭했지만, 최근 이들 쟁점에 대한 잠정적 합의를 이뤄낸 것.
특히 이 같은 의견접근은 지난 13일 김학규 용인시장과 사실상 용인경전철 사업 협약 주체인 데이비드 알렌 (주)봄바디어 코리아 대표 간의 회동 후 급속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조만간 정상운행을 위한 재협상을 마무리 한 후 인력채용 및 시험운행 등을 위한 관련조치 등이 진행될 전망이다.
시와 (주)경전철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진행했던 ‘경전철 정상화를 위한 재구조화 협상’에 대해 잠정적으로 합의했다.
(주)경전철 고위 관계자는 지난 15일 “용인시가 제시했던 경전철 정상운행 협상이 대부분 마무리 됐다”며 “빠르면 다음달부터 정상운행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이 재개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재구조화 안’은 당초 협약에서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던 MRG를 삭제했으며, 수요예측도 지난 2010년 경기개발연구원에서 분석한 1일 평균 3만 2000명 기준이다. 대신 준 공영제 방식을 도입, (주)경전철 측이 운임을 징수해 충당하되 적자가 발생하면 시 재정으로 보존해 주고 흑자가 나면 시에서 환수한다.
그러나 현재진행 중인 국제중재판정 2차 재판은 양측 모두 그대로 진행키로 했다. 국제중재2차 판정 전 취하할 경우 양 측 모두 부담으로 작용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시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시와 (주)경전철은 정상운행 절차 및 비용, 운행 안전부분과 부실공사 논란, 소음민원 등에 대한 재검토와 추가 협의 등을 진행 중이다.
특히 경전철 정상운행 준비에 따른 비용부분을 두고 양 측의 입장차가 있다는 전언이다.
시 관계자는 “국제중재판정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도 용인경전철 운행을 위한 재 구조화 협상을 계속 진행 중”이라며 “협상완료 및 개통시기 등을 단정할 수 없지만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정상운행을 위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용인경전철 사업 의혹에 대한 검찰수사도 마무리 단계에 놓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조만간 용인경전철 관련 핵심인물들에 대한 소환 조사 후 수사를 마무리 한다는 방침이라는 전언이다.
실제 검찰은 지난 13일과 15일 김학필 (주)용인경전철 사장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 장시간 조사를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경전철 사업과 직접적인 비리의혹 등에 대한 혐의는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