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의회 김민기 의원에 따르면 자치행정위원회는 지난 9일 시 측이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영어마을 조성사업 관련 2008 행·감 결과로 ‘사업종료’조치할 것을 의결했다.
그러나 지난 19일 제134회 시의회 2차 정례회 마지막 본회의에 상정된 자치행정위의 행·감 처리결과에는 ‘영어마을 소유권 보존 등기 불가로 사업추진 곤란, 영어마을 사업 추진에 따른 대안마련’으로 변경됐다.
하지만 이 같은 내용은 해당 상임위인 자치행정위원들은 물론 위원장조차 몰랐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시의회 본회의장은 두 번의 정회와 이 같은 사실을 지적한 김민기 의원의 이의신청 등으로 한 때 파행으로 치달았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시의회 사무국 측은 “상임위 전문위원의 업무적 착오였다”는 내용의 사과로 일단락 시켰다.
시의회 자치행정위 조병섭 전문위원은 “상임위에서 채택된 행·감 결과의 수정과정에서 착오가 발생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번 행·감 결과 변경은 의도적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시의회 측은 내년도 본 예산에 편성된 영어마을 조성사업 예산 70억 원을 원안 가결했다. 결국 상임위가 채택한 행·감 결과를 시의회 내부에서부터 무시한 결과를 초래 한 것.
따라서 시의회와 집행부 측이 행·감결과에 맞지 않는 예산 승인의 정치적 부담을 없애기 위한 공작이라는 것이 중론. 특히 영어마을 조성사업의 경우 그동안 시의회와 시 집행부 간의 팽팽한 줄다리기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전문위원의 ‘실수였다’는 해명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뿐만 아니라 시 집행부 측은 사전에 이 같은 상황을 예측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영어마을 관련 예산심의 전인 지난 12일 소식통에 따르면 시 관계자는 “자치위 행감결과가 아직 본회의를 통과한 것은 아니다. 자치위의 행감 결과와 달리 영어마을 예산은(예결특위 등을 통해) 통과될 것이고, 행감 결과도 본회의에서 변경될 것이다”라고 말했다는 것.
즉, 시 측은 모든 상황을 이미 그려두었다는 설명이다.
또한 사업 당사자인 한국 외대 측도 최근 영어마을 조성사업 예산 등이 모두 통과될 것이라는 내부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내용이 알려지자 영어마을과 관련된 모든 정황이 집행부와 시의회 측의 이른바 ‘짜고 친 고스톱’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시 관계자는 “상임위에서 채택한 행·감 결과도 본회의에 상정된 다음에 알았다”고 일축했다.
시의회 관계자도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사무국의 단순한 실수”라고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