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오래 전부터 동·서양의 문화를 교류함에 있어 오리엔탈리즘은 서구 문화 예술의 중요한 경향이었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오리엔탈리즘은 지금까지의 이국적인 것에 대한 호기심과 동양적인 취미로서 표현하는 것에서 벗어나 동양의 정신적 사상, 철학, 문화, 예술을 새롭게 인식하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는 현대 사회의 특성인 포스트 모더니즘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다문화주의의 경향으로 볼 수 있다.
,러한 경향에 의해 패션에서도 오리엔탈리즘이 큰 트렌드로 형성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많은 디자이너들이 패션 컬렉션에 오리엔탈리즘을 선보였다.
아울러 메이크업에 있어서도 오리엔탈리즘을 표방한 창의적인 표현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해 살펴보고 미학적 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오리엔탈리즘은 동·서양의 문화교류 가운데 오래 전부터 서양에 대한 동양의 개념으로 문화예술의 중요한 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현대사회에서 동양풍에 대한 서구인들의 인식은 그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것으로 단지 호기심 충족과 동양적 취미의 수준이 아닌 오랜 역사와 배경이 있는 서양과 다른 대응한 동양이란 인식이 있으며 동양의 정신적 사상, 철학,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
즉 오리엔탈리즘이란 일반적으로 동양적 취미나 동양적 정서 혹은 동양적 예술에 대한 애호로 정의내릴 수 있으며, 지리적으로 터키 동쪽 지역의 국가나 민족이 지니는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적 요소를 문학, 음악, 미술, 건축, 복식 등 예술 전반의 표현 주제로 삼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대 메이크업에 표현된 오리엔탈리즘의 표현양식은 과거와 전통의 회귀를 지향하는 전통주의, 포스트모던의 문화적 성격으로 이질적 요소를 혼재시키는 절충주의 등의 특성이 있다고 본다.
전통주의는 이집트, 일본, 중국, 인도 등의 전통적인 스타일을 지향한다.
과거의 것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역사적 전통성의 요소들을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여 새로움을 창출하기도 한다.
중국의 경극 분장을 살린 메이크업이나 일본의 전통 메이크업인 ‘시라누리’, 이집트 메이크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눈썹을 강조하고 눈 화장에 골드 컬러를 사용하여 전통 문화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거나 이러한 전통적인 표현에 새로운 소재를 추가한 예를 들 수 있다.
절충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다원주의는 오리엔탈 메이크업에 있어 무경계적인 절충주의로 나타난다.
타문화권의 이미지를 도입하여 이국취향의 분위기를 연출한다든지, 서로 다른 문화끼리의 복합적 이미지 차용 등 전통적?고정적 관념에서 탈피하여 지역을 뛰어넘는 절충적인 현상을 보이고 있다.
동양의 전통 메이크업에 20세기 서양 시대 양식을 융합시키는 등 지역과 시간을 넘나드는 절충적인 현상을 나타낸다.
김미경/동명정보대겸임교수
①③ 일본의 전통 신부 메이크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섬세하고 부드럽게, 혹은 전사처럼 강하게.
② 경극 분장을 일본의 ‘시라누리’와 융합해 동양의 신비하고 매혹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④⑥ 2년 전 크리스찬 디올의 수석 디자이너인 존 갈리아노는 이집트 이미지에 매료되어 ‘클레오파트라’라는 테마로 컬렉션을 진행했다.
⑤ 일본 전통 메이크업에 헐리우드 스타와 같은 화려한 기법을 융합한 전위적인 메이크업이다.
⑦⑧ 중국 경극 분장을 보면 음양 오행색을 적절히 사용하고 있다. 우리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색은 적색으로 선하고 호감을 주는 의미를 담고 있다.
⑨ 피라미드로 상징되는 고대 이집트의 메이크업을 살펴 보면, 눈과 눈썹을 짙게 강조하고 금색으로 장식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⑩ 인도의 전통적인 메이크업은 색상, 문신, 장식물 부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현대 메이크업에 활용된다.
⑪ 일본 전통 결혼식의 신부화장. 일본은 예로부터 하얀 피부를 미인의 조건으로 삼아 얼굴은 하얗게 칠하고 흰 색을 강조하기 위해 치아는 검게 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