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여 5ㅣ한유

  • 등록 2021.10.05 09:27:23
크게보기

가을이여 5

                             한유

 

갈래 갈래 공연한 슬픔 걸고

슲고 슲게 빈 걱정 안고 있네.

이슬은 가을 나무 높이 맺히고

벌레는 찬 밤 긺이 슬퍼 우네.

 

삼가 물러나 새삼 조심하니

악착스레 앞서 날뛰던 일 구슬프네.

소박한데 돌아와서야 편안한 길 느끼고

옛 것을 길으니 긴 두레 줄 잡히네.

 

이름만 뜬 것 오히려 부끄럽고

세상 맛 엷은 것 정말 스스로 다행이네.

대저 부끄러움도 허물도 잊어버리면

이곳이 바로 은자의 집 되리라.

 

한유(768-824)는 허난성 난양 출신으로 사상가이며 시인이다. 그는 옛 문물을 숭상하는 상고주의자여서 전통적 윤리사상인 유교를 받들고 중국의 사회조직을 파괴한다고 생각되는 불교와 도교를 맹렬히 반대했다. 이는 그의 문학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옛 정신을 계승하는 것이야말로 높은 문학정신이라고 생각했다.「가을이여」역시 그의 상고주의가 반영된 작품이다.

첫 연의 이슬과 벌레는 화자의 은유다. 높은 정신을 가졌으나 찬 밤이 길어 슬피 우는 것이다. 둘째 연은 관직에서 물러나 생각하니 악착스럽게 날뛰던 자신이 슬프고 물러나 소박하게 살아가니 마음이 고요해져서 옛 것을 긷는 긴 두레박줄이 잡히듯 학문이 보인다는 것이다. 셋째 연은 이름만 알려진 것이 부끄러울 뿐, 세상의 떫고 깊은 맛을 알지 않은 게 다행이라고 생각하며 이런 소박한 삶을 통해 부끄러움도 허물도 잊어버리면 이곳이 은자의 집이라고 노래한다. 민음사 간 한유의 『한유 시선』 중에서. 김윤배/시인.

김윤배 기자 poet0120@gmail.com
Copyright @2009 용인신문사 Corp.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용인신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지삼로 590번길(CMC빌딩 307호)
사업자등록번호 : 135-81-21348 | 등록일자 : 1992년 12월 3일
발행인/편집인 : 김종경 | 대표전화 : 031-336-3133 | 팩스 : 031-336-3132
등록번호:경기,아51360 | 등록연월일:2016년 2월 12일 | 제호:용인신문
청소년보호책임자:박기현 | ISSN : 2636-0152
Copyright ⓒ 2009 용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mail to yonginnews@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