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용인의 문화유산 산책

조선 8대 문장가의 삶을 품다

4. 저헌 이석형 선생의 계일정

 

 

 

400년전 인조반정때 종갓집 피난…  처인구 능원3리에 뿌리내려

 

[용인신문] 처인구 모현면 능원 3리는 연안이씨 종갓집과 저헌(樗軒) 이석형(1415~1477) 선생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다.

 

이석형 선생은 조선 세종대에 과거시험에 3장원한 집현전의 학자이며 성삼문, 신숙주 등과 함께 8대 문장가로 잘 알려져 있다.

 

이석형 선생의 집안이 이곳에 터를 잡게 된 것은 조선 인조반정 때부터였으니 400년 전통이다.

 

연안이씨 18대 손으로 능원 3리에서 조상 대대로 살아온 삶의 터전을 지키고 있는 이문자(81) 선생은 “인조반정 때부터 400년”이라며 “실패하면 3족을 멸한다지 않았어요. 후손이 이곳으로 피난을 온 거에요. 원래 종갓집 터는 여기(문강재실 소재지)가 아니었어요. 여기는 문강재가 세워지기 전 희귀본과 책을 많이 보관하고 있는 서재가 있었고 공부를 하던 곳이었어요. 따라서 서재골이라 불렸어요. 여기는 마을이 없던 것 같아요. 삼거리 모현농협 능원지소 자리가 원래 집터였어요. 할아버지가 3살 때 큰 불이 나서 여기로 집을 짓고 옮겼대요. 내가 어렸을 때는 시작골, 새작골 그랬어요. 왜 그런가 족보를 보니까 서재골에다 다시 종가를 지었다고 나와 있더군요”라고 말한다.

 

이곳 문강재가 있는 동네는 안골, 서재골이라 했으며 이 서재골에는 조선시대 명망이 높았던 월사 이정구를 비롯해 이단상, 이시윤 등 다수의 학자를 배출했다.

 

길 옆 문강재라는 표석이 세워진 대문 안쪽 마당에 재실인 문강재가 있고, 맞은편에는 종갓집인 현대식 2층 집이 있다. 2층에는 사당이 모셔져 있고 현오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마당 한켠에 커다란 향나무가 서 있고 그곳에 서울에서 88년에 옮겨온 계일정이 복원돼 있다. 현재 종갓집 마당에 복원돼 있는 계일정은 이석형 선생이 말년에 본가(현 서울대학 병원 자리) 한편에 초가로 정자를 짓고 붙였던 이름이다.

 

“이석형 할아버지가 원래 종로5가 연지동에 사실 때 연못이 있었는데 그곳에 ‘계일정(戒溢亭)’이라는 정자를 지었어요. 그게 가훈이에요. 권력과 재물이 분수에 넘침을 경계하라. 연못이 넘치면 할아버지 서재로 오게끔 정자를 만들었대요. 항상 조심을 하지 않으면 무엇이 넘친다.” 계일 정신뿐만이 아니라 저헌이라는 호가 주는 의미 역시 집안의 가풍을 말해주고 있다.

 

“내가 어렸을 때 종갓집 울타리에 개가죽나무가 많았어요. 원래 연못이 있던 현재의 텃밭 쪽으로 개가죽나무가 쭉 심어져 있었고, 나머지는 편백나무가 심겨진 생울타리였어요. 개가죽나무는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나무에요. 어렸을 때 아버지한테 왜 저나무가 울타리에 많이 있어요 그랬더니 아버지는 저헌 할아버지가 벼슬은 했지만 그렇게 쓸모없는 인간이다. 아주 겸손한 것이죠. 그래서 저헌이라는 거에요. 저헌(樗軒)은 개가죽나무저자에 가마헌자. 가마는 탔지만 나는 개가죽나무처럼 쓸모없는 인간이다. 그런 호라는 거에요. 계일정과 함께 겸손이 연안이가의 가풍이에요.”

 

이문자 선생이 살고 있는 동네는 연안이씨 집성촌 가운데 하나다. 연안이씨 세거지는 모현면 일원을 비롯해 양지면 추계리 일원, 그리고 이동면 서리 불당골 일원이다. “능원3리 우리 동네에 연안이씨가 터 잡은 게 400년이 됐어요. 동림리, 능원2리가 가까운 집성촌이고, 갈월 파담이 연안이씨 집성촌, 수원 가는 쪽 독바위 이런데도 우리 집성촌이죠. 충주 음성, 서울도 그렇구요.”

 

저헌 이석형 선생은 생원 진사 문과에 모두 장원했다. 문신 중시에서도 장원했다. 조선 최초로 삼장원을 한 인물이다. ‘문헌비고’에 전해 내려오는 일화가 있다.

 

과거 급제자 발표 후 임금님이 잔치를 벌여 광화문으로 들어가야 했다. 이때 가운데 문은 임금만이 들어가고, 왼쪽은 생원과, 오른쪽은 진사과가 들어가는 좁은 문이 있었다. 각기 장원한 사람을 앞세우고 들어가야 하는데 이석형이 양과를 장원하니 생원과 진사과 모두 저헌을 앞세우고자 실랑이를 벌였다. 이로 인해 잔치에 늦게 되자 임금에게 이 사실을 고하니 세종이 기뻐하면서 중앙의 큰 문으로 장원한 자를 들게 하라고 해서 저헌공은 임금만이 다닐 수 있는 가운데 문으로 들어갔다고 한다.